사설

[사설]24년 만에 최고 물가, 금리 인상만으로 못 잡아

도내 소비자물가 상승률 7%대로 치솟아
금리 오르면 투자 감소 소비 위축 불 보듯
정부·기업 등 모든 주체 고통 분담에 나서야

소비자물가 상승세가 갈수록 가팔라지고 있다. 1998년 외환위기 이후 약 24년 만이다. 강원도 내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7%대로 치솟았다. 강원지방통계지청이 지난 5일 발표한 강원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7.3% 올랐다. 외환위기 시절인 1998년 11월(8.0%) 이후 23년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도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2월 4.4%를 기록한 이후 올 들어 1·2월 각 4.3%, 3월 4.9%, 5월 6.7% 등으로 가파른 상승 곡선을 그렸다. 서민들의 한숨 소리가 커질 수밖에 없다.

앞으로가 더 문제다. 정부와 한국은행 등이 향후 물가가 더 오를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달부터 전기 및 가스요금이 추가로 인상되는 데다 공공서비스 가격 상승도 예고돼 있어서다. 이 중 공공요금은 모든 상품 및 서비스의 원재료인 만큼 전반적으로 물가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된다.

정부는 모든 행정력을 동원해 물가를 안정시키는 데 매진해야 한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에서 “앞으로 민생 현장에 나가 국민의 어려움을 듣고, 매주 비상경제 민생회의를 주재하겠다”고 했다. 물가를 이대로 두면 민생이 파탄 날 수 있다는 대통령의 인식이다. 또 윤 대통령은 “민생의 어려움을 더는 데에 공공 부문이 솔선하고 앞장설 것”이라며 “불요불급한 자산을 매각하고 과감한 지출 구조조정과 공공기관 경영 효율화로 허리띠를 졸라맬 것”이라고도 했다. 이런 상황에서 무엇보다도 정부와 공공기관이 고통 분담을 위한 모범을 보여야 한다. 즉, 급여 등 지출을 줄여야 한다. 그래야 기업의 가격 인상 억제와 노동계의 임금 인상 요구 및 은행권의 과도한 이자 장사 자제를 요청할 명분이 생긴다.

물가를 잡기 위해 기준금리를 큰 폭으로 올릴 필요가 있는 시점이다. 그러나 이는 1,900조원에 육박하는 가계 부채의 이자 부담이 커지고, 소비 위축과 기업의 투자 감소를 촉발시켜 경기 침체로 이어질 수 있다. 더욱이 일자리가 줄어드는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다. 금리 인상에 속도 조절이 있어야 한다.

물가 고통을 덜려다가 실직 고통이 커지는 최악의 경우도 걱정해야 한다. 하반기에는 국제 곡물 가격 증가세가 더 빠를 수 있다는 예상이 나온다. 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3월부터 폭등하기 시작한 국제 곡물 가격 상승분이 올 하반기부터 수입 가격에 반영된다.

또 이른 추석(9월10일)을 앞두고 8월 물가가 크게 오를 가능성도 높다. 축산물, 채소류 등 농축수산물 가격이 치솟는 것도 문제이지만, 밀가루 수입 가격 급등으로 라면 등 가공식품에 전반적인 물가 상승이 퍼질 수 있다는 데 심각성이 있다. 지난달 평균 밀 수입 가격은 1톤당 445달러로, 1년 전 1톤당 319달러보다 40% 뛰었다. 모든 주체가 물가를 안정시키는 데 동참해야 한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 & 피플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