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청 신청사 부지가 올 12월 말까지 확정된다. 김진태 지사는 26일 “새로운 100년 강원특별자치도의 행정중심지가 될 도청 신청사를 춘천시에 신축한다. 부지선정위원회를 구성해 대상 부지 선정을 연내 마무리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부지선정위는 다음 달 중 꾸리고 10월까지 부지 선정 용역을 실시한다. 용역을 통해 선정된 후보지에 대해 부지선정위 심사와 공청회, 세미나 등을 거쳐 12월 말 최종 부지를 발표한다. 또 내년 기본계획 수립 및 행정안전부 중앙투자심사를 거쳐 2024년에는 청사 신축 설계 공모, 기본·실시설계까지 마친다. 착공은 2026년 1월, 준공은 2028년 6월로 목표를 정했다. 도청사 이전 논의는 메가톤급 폭발력을 지닌 뇌관이다. 갈등이 아닌 지역 균형발전을 도모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도는 건립을 위한 모든 절차를 최대한 빨리 완료하겠다고 한다. 도청사 이전을 둘러싼 지역의 갈등과 분열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속도도 중요하다. 하지만 방향이 더욱 중요하다. 도청사 신축은 강원특별자치도 시대로 나아가는 첫걸음이다. 강원특별자치도라는 위상과 기능이 충분히 고려돼야 한다. 도청사 이전은 그 출발점이 돼야 한다. 무조건 캠프페이지는 안 된다는 식은 지양해야 한다. 강원도가 인수위원회 업무보고에서 캠프페이지 부지의 장단점을 상세히 보고하며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고 우회적으로 건의한 부분을 잊지 말아야 한다. 만약 캠프페이지가 아닌 다른 부지를 선정해야 한다면 캠프페이지 부지의 문제점을 명확하게 밝히고 도민들이 납득할 수 있는 캠프페이지의 종합적인 활용 방안을 내놓는 것이 순서다.
도청사 이전은 이해관계가 얽혀 있어 각자의 의견이 다를 수 있다. 이미 원점 재검토로도 캠프페이지 인근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다. 후폭풍이 우려되고 있다. 따라서 객관성, 타당성을 충분히 갖춰 부작용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는 용역이 중요하다. 도청사 이전은 단순한 문제가 아니다. 강원도의 상징인 만큼 지역 발전의 축이다. 인구와 교통의 흐름이 변하고 주민 의식도 달라진다. 따라서 수부도시인 춘천시의 발전 방향과도 맞아야 할 것이다. 도청사 이전 부지 결정권이 도에 있다고 하더라도 춘천시의 의견을 들어야 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지역의 백년 미래를 내다보고 진행돼야 한다. 코로나19 사태 해결에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할 엄중한 시점이다. 이번에는 최종 부지 선정을 놓고 비생산적이고 소모적인 논쟁이 다시 이어지지 않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