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강원도내 공공와이파이, 지역별로 최대 10배 차이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최근 3년간 도내 공공와이파이 총3,504개
원주 629개로 가장 많고 양양은 65개 불과
고성 영월 횡성 시내버스엔 한개도 설치안돼

사진=연합뉴스

강원도내 보편적 통신 접근성을 개선하고 가계통신비 부담을 덜기 위해 구축된 공공와이파이 설치개수가 시·군 마다 큰 차이를 보이면서 공공복지 형평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14일 강원도 등에 따르면 도내 설치된 공공와이파이 개수는 지난해말 기준 모두 3,504개로 나타났다. 원주가 총 629개로 가장 많았고 춘천과 강릉은 각각 583개, 414개로 집계됐다. 군지역에서는 횡성이 250개로 가장 많았다. 양양은 65개에 불과, 원주에 비하면 10배 가량 차이가 났다.

시내버스에 설치된 공공와이파이 개수도 지역별 차이가 컸다. 원주가 167개로 가장 많았고 강릉(118개), 춘천(86개), 속초(49개), 삼척(35개) 순이었다. 고성, 영월, 횡성지역 시내버스에는 와이파이가 한 대도 설치되지 않았다.

도 자체 구축 와이파이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구축한 것을 더할 경우 17개 시·도 중 수도권을 제외하면 도는 경북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 강원도가 평창동계올림픽을 치르면서 공공와이파이 구축에 힘쓴 결과다.

이처럼 와이파이 지역 격차 발생 이유로는 비용 문제가 꼽힌다. 와이파이 설치 1곳 당 회선료 및 장비 유지보수비 등 월 3만3,000원의 운용비가 발생한다. 상대적으로 재정 여건이 부족한 자치단체에게는 부담이 된다.

실제 도내 지자체들은 지난해 회선료로 통신사에 모두 13억6,700만원을 지불했다.

여기에 사용 가능 연한을 넘긴 공공와이파이 장비 교체 및 관리 문제도 거론되고 있다. 유지 보수 예산이 별도로 편성되지 않으면서 통신사업자들도 장비 교체 및 보수에 소극적이다.

이에 따라 회선료의 국비 지원 및 통신사 약정할인율 조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힘을 받고 있다.

이정문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은 "지자체별 공공와이파이 구축률 차이로 통신 소외계층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며 "지역·계층 간 이용격차를 해소하고 통신 공공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구축 격차를 줄여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원도 관계자는 "올해 강원도내 공공와이파이를 500개 가량 추가 구축할 예정으로 앞으로도 시민 통신 접근성 개선을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