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말 강원도청사 신축 부지 결정을 앞두고 현 청사에 대한 활용 방안과 춘천의 도시 확장성을 고민해봐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특히 강원특별자치도 출범을 앞두고 미래 남북 통일 가능성까지 고려한 유휴지 활용 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요구도 나왔다.
26일 한림대 국제회의실에서 강원도와 강원일보사 공동 주최로 마련한 '강원특별자치도청사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 시민토론회에서다. 진장철 강원대 명예교수가 좌장을 맡은 이번 토론회에서 안영미 강원도 청사건립추진단장은 '강원도청사 신축 추진 상황'에 대한 추진 배경 및 도민 여론조사 결과를 설명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최병수 강원일보 전무이사는 "도민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현 청사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이 없다. 신축 만큼이나 사후 관리가 중요하고 현 청사의 활용방안도 중요하다. 신축 부지결정 과정에서 소외감과 갈등이 없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강릉은 동계올림픽, 원주는 혁신도시·기업도시 조성 등을 계기로 발전했다. 춘천도 도청사 신축을 계기로 발전의 기틀이 마련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강원특별자치도 출범에 맞춰 미래지향적 가치를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이석권 강원대 건축학과 교수는 "통일이 된다면 강원도는 정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강원특별통일자치도가 될 수도 있다"며 "통일시대에 대비한 유휴지 확보와 공간적 확장에 대한 고민이 있어야 한다"고 요구했다.
김갑열 강원대 부동산학과 교수 역시 "앞으로 강원도의 미래, 강원특별자치도라는 측면에서 통일을 염두에 둔 장기적인 플랜으로 추진돼야 한다"고 역설했다.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갖고 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었다. 한중일 도청사부지선정위원은 "도청사부지선정위원회 구성 이후 3~4개월 동안 2번 회의를 거쳤고 12월에 결정할 예정인데 짧은 시간에 빠른 결정을 하는 것 같다"며 "도민들께 후보지 2~3곳을 공개한 뒤 장단점을 살펴보고 랜드마트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부지를 결정하는게 바람직하다"고 했다.
강종원 강원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도시 확장성과 춘천시의 균형발전을 같이 고려해야 한다"며 "결과에 대한 지역 소이기주의 등 갈등이 없어야 한다. 도민들이 수긍할 수 있도록 평가기준의 객관성과 공정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임찬우 춘천시 기획행정국장은 "도민들의 의지를 결집하고 있다. 다만 우려스러운건 춘천에서 지역간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라며 "결과에 대한 갈등이 표출되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논의하겠다"고 했다.
강원도 청사건립추진단은 이날 발표한 도민 여론조사 결과와 토론회에서 요구된 내용들을 종합해 후보지에 대한 평가기준을 다음달에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도청 신청사 부지가 선정되면 내년 기본계획수립 및 행정안전부 중앙투자심사를 거쳐 2024년에는 청사 신축 설계공모, 기본·실시설계까지 마친다. 착공은 2026년 1월, 준공은 2028년 6월로 목표를 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