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신입생 미달 현실화, 발등의 불 된 지역대학 생존

지난해 수시 모집 9곳 2,000여명 미충원
수도권 대학들은 규제 완화 틈타 정원 늘려
대학·지자체, 발상 전환으로 협력체계 구축을

지방대학의 신입생 정원 미달 현상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입학만 하면 성적이나 가계 형편과 상관없이 등록금 전액을 장학금으로 주는 대학이 크게 늘었다. 이는 올 10월 서동용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받은 자료에서 밝혀졌다. 등록금 전액을 장학금으로 지원하는 대학(전문대 포함)은 2020년 4곳에서 올해 14곳이 됐다. 2020년 이후 3년간 신입생 전원에게 전액이나 일부를 장학금으로 지급한 적이 있는 대학은 모두 85곳에 달했다. 수도권의 경우, 서울 소재 대학은 한 곳도 없었지만 경기·인천에서 19곳이 나왔다. 나머지 66곳은 비수도권 대학이었다.

이처럼 대학들이 전원 장학금이란 고육책을 쓰는 이유는 학령인구가 줄면서 대학 입학 정원이 수험생보다 많은 역전 현상이 본격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대입에서 신입생 미달 규모는 역대 최다인 4만586명이었다. 현재 고2가 치르는 2024학년도 대입 정원은 47만여명이지만,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등을 보면 ‘대학 입학 가능 인원’은 37만명 정도다. 이 같은 여파로 비수도권 지방대학을 중심으로 신입생을 모집하기 어려워지자 2~3년 전부터 첫 학기 등록금을 아예 안 받는 곳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이런 파격적인 혜택을 주지만 지방대 신입생 모집 사정은 더 악화되고 있다. 지난달 17일 대학수학능력시험이 끝나면서 강원도 내 대학들이 본격적인 입학시험 일정에 돌입한 가운데 각 대학들이 신입생 모시기에 열을 올리고 있다. 정부의 규제 완화를 틈타 수도권 대학들이 정원을 늘리는 것도 신입생 유치전을 더욱 가열시키는 원인 중 하나다. 지난해 말 2022학년도 대입 수시모집 마감 당시 도내 4년제 대학 9곳에서 2,000여명의 미충원 인원이 발생하는 등 신입생 유치난을 겪었다.

대학은 지역경제, 산업 등의 기초가 되는 인적·물적 자원의 집약체로서 지역대학의 위기는 지역의 위기와 직결된다.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자치단체, 대학, 지역 혁신기관 간 협력체계를 통해 지역의 경제, 산업 체계를 뒷받침하는 지속 가능한 인재 양성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다. 강원도에도 지역마다 대학들이 있다. 그동안 상아탑의 이름 아래 대학들은 자신만의 세계를 만들고 그 안에서 학문과 교육을 해 왔다. 그러나 사회환경이 급변하고 대학의 역할 역시 이전과는 매우 달라졌다. 지역사회 안에서 대학의 존재는 한두 마디로 명쾌하게 설명할 수 없다.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대학은 사회의 여러 분야 속으로 깊이 들어가 있고, 상호 영향관계를 주고받는 사이에 불가분의 관계를 형성한 상태다. 대학이 가진 지성과 아이디어는 사회가 성장하는 동력이 되고, 활기 넘치는 사회의 에너지는 대학의 비전을 창출하는 자료가 된다. 대학과 지역사회의 혁신적인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것이야말로 건강한 공동체를 구축하는 요소인 동시에 지역이 발전하는 길이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 & 피플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