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정은 인적 쇄신을 통해 조직의 안정을 도모해야 한다. 민선 8기 강원도정이 출범한 지 6개월째에 접어들면서 강원도 내부에서 내홍이 일고 있기 때문이다. 안정된 공직사회가 안정된 행정, 효율성 높은 행정을 이끌어 가는 지속적 에너지원으로 작용한다. 최근 강원도청 내부 게시판에는 ‘도청 집행부 문제에 노조가 나서야 한다’는 취지의 익명글이 게시됐다. 올 7월 새로운 김진태 강원도정이 출범했음에도 국장급을 비롯한 간부들은 면밀한 검토 없이 직원들 사이 많은 입방아에 올랐던 ‘그때 그사람’들을 그대로 앉히면서 내부 불만이 폭발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 글을 쓴 직원은 “간부 직원 갑질, 승진 자리의 행정직 독식, 집행부에도 심한 간부도 많다”는 등의 내용을 썼다. 이 글은 16일 기준 3,600여회의 조회수를 기록했고 수십개의 댓글이 달렸으며 직원들의 입을 통해서도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김 지사는 우선적으로 문제의 본질이 어디에 있는지부터 파악해야 한다. 인사는 만사(萬事)라고 했다. 잘못된 인사가 정책 입안과 시행을 어렵게 하고 행정조직을 무력하게 만드는 경우를 수도 없이 봐왔다. 김 지사는 지난 180일 동안의 인사가 도정을 이끌어 가는 데 도움이 되고 있는지 겸허하게 살펴야 한다. 인사 행정은 모든 지방자치 행정의 근본이다.
적재적소에 능력에 맞는 인사를 배치하고,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사기를 진작시키며, 필요시 직원들의 능력 발전을 위해 교육과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특히 재정이 빈약하고 지역 발전을 위한 자원이 취약한 강원도로서는 주민들과 지역 발전을 위해 소명의식을 갖고 창의력을 발휘하는 공무원들이야말로 지역의 가장 소중한 자산이며 에너지인 것이다. 그래서 이러한 자산과 에너지를 얼마만큼 최고도로 활용하느냐에 따라 지역 발전의 성패가 좌우된다. 따라서 자치단체장이 갖춰야 할 리더십 중 그 첫 번째가 유능한 인력을 어떻게 관리하고 활용할 줄 아는가에 달렸다.
그러나 그동안 민선자치가 시작되면서 학연과 지연에 따른 파벌 인사와 선거 후 논공행상의 자기 사람 심기가 조직의 위계를 흔들어놓고 공무원들의 사기를 떨어뜨리는 사례가 비일비재하며 인사를 둘러싼 잡음이 끊임없이 계속돼 지방자치를 멍들게 하고 있다. 물론 자치단체장의 정책 철학과 비전을 같이하는 유능한 측근들이 그를 보좌하고 정책집행을 함께해야 일관성을 유지하고 책임행정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연공서열과 인사 관행에 묻혀 있는 유능한 인재를 과감하게 발탁하는 것은 조직에 신선한 충격을 줘 신바람 나게 일하는 분위기를 조성한다는 점에서 매우 긍정적이다. 그러나 문제는 인사의 공정성과 투명성이다. 능력 위주의 발탁 인사라는 명목으로 자기 사람을 심기 위한 정실 개입의 여지를 확대하고 전문성보다는 친소관계에 따라 직위가 부여되면 곤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