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가 행정안전부의 2022년 전국 지역안전지수 평가에서 최하위권을 기록했다. 지역안전지수는 지자체별로 교통사고, 화재, 범죄, 생활안전, 자살, 감염병 등 6개 분야의 안전 수준을 평가한 것이다. 각각 1∼5등급으로 계량화한 수치로 1등급에 가까울수록 사망자 수 또는 사고 발생 건수가 적다는 의미다. 각 지자체의 분야별 안전도와 안전 수준 개선도를 확인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지표다. 강원도는 교통사고 3등급, 화재 4등급, 범죄 3등급, 생활안전 3등급, 자살 5등급, 감염병 5등급 등이다. 1등급은 고사하고 2등급도 없었다. 전반적으로 중·하위급을 받으며 등급 합계 23등급에 그쳤다. 총 9개 광역자치단체 중 전남과 함께 가장 낮은 등급이다. 전년 대비 개선이 이뤄지며 등급이 상승한 분야가 없다는 점에서 그동안 도에서 과연 지속적으로 안전지수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는지 묻고 싶다.
특히 도는 자살과 감염병 분야에서 최하위권을 기록했다. 자살 분야의 경우 5등급으로 강원도 자살률이 전국에서 제일 높은 수준이라는 오명을 씻어내지 못했다. 또 코로나19, 아프리카돼지열병, 조류인플루엔자 등으로 감염병에 대한 우려가 크지만 이 또한 최저 등급을 받아 도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이 모든 게 지역 주민의 안전을 책임지고 도모해야 할 강원도로서는 불명예가 아닐 수 없다. 지역안전지수는 삶의 질을 평가하는 중요한 잣대로 이용된다. 안전한 삶을 보장받지 못하면 인구이탈은 갈수록 심해질 수밖에 없다. 가뜩이나 수도권 집중화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안전지수까지 떨어지면 강원도는 더 이상 미래를 확신할 수 없다. 물론 예산 등 한계가 있기는 하겠지만 안전보다 중요한 가치는 없다.
서울 이태원에서 빚어진 참사의 충격이 온 나라를 뒤덮고 있다. 이번 참사에서 보듯 안전보다 소중한 것은 없다. 이제부터 강도 높은 ‘안전 꼴찌’ 탈불명예 대책이 시급하다. 안전한 환경 조성으로 도민의 행복권을 지향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취약 분야에 대한 원인 분석과 개선책부터 마련해야 한다. 미흡한 부분이 무엇인지 다시 한번 살피고 그에 맞는 방안을 관계 기관과 함께 협의해 강구해야 할 것이다. 또 안전의식 수준을 높일 지역사회의 분위기 조성도 절실하다. 안전 분야는 정주여건 등 도시 경쟁력에도 영향력을 미치는 중대한 사안이다. 도가 전국에서 가장 안전한 곳으로 자리매김할 때까지 지역안전지수 개선을 위해 부단한 노력을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