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경제인 10명 중 9명은 올해 경제 상황을 매우 부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석열 정부와 김진태 도정의 경제 정책에 대해서는 50점 이하의 낮은 평가가 다수였다. 경제 상황 개선을 위한 획기적인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강원일보가 지난해 12월7일부터 29일까지 실시한 ‘2023년 경제 전망 설문조사’ 결과다. 도내 경제계 기관·단체장, 기업인 등 107명이 이번 설문조사에 참여했다. 올해 한국 경제 상황 전망에 ‘불황’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86.91%(매우 불황 33.64%, 다소 불황 53.27%)에 달했다. ‘보통’은 10.28%, ‘다소 호황’은 2.8%였으나 ‘매우 호황’으로 전망한 경제인은 단 한 명도 없었다. 글로벌 경기 침체의 충격이 새해 우리 경제에 실질적인 위협으로 닥칠 것이라는 의미다. 살아남는 게 올해의 목표가 될 판이다.
어두운 경제 전망 속에 강원도 내 경제인들이 김진태 지사에게 요구하는 최우선 경제 공약은 ‘데이터산업 융합 밸리 조성’인 것으로 조사됐다. ‘김진태 지사가 2023년 반드시 추진해야 할 강원도 관련 경제 공약은 무엇인가’라는 질문(복수 응답)에 21.4%가 ‘데이터산업 융합 밸리’를 꼽았다. ‘원주권 삼성 반도체공장 유치’가 16.7%로 뒤를 이었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4차 산업 육성과 대기업 유치가 매우 중요하다. 강원도는 지역경제를 견인할 대기업과 기간산업이 없고 하도급업체와 중소기업이 많은 편이다. 열악한 경제 구조를 개선하고 소득 상위 도시로 발전하기 위해선 우선 미래 첨단산업 육성에 매진해야 한다는 의미다.
특히 ‘디지털 석유’ 또는 ‘4차 산업혁명의 원유’로 불리는 데이터는 인공지능(AI), 메타버스, 자율주행 등 첨단산업의 핵심 자산일 뿐 아니라 그 자체로 무궁무진한 사업 기회의 보고다. 지난해 1월 금융 분야 마이데이터가 본격 시행되자 은행 카드 등 기존 금융권은 물론 핀테크업계까지 앞다퉈 서비스를 내놓으면서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는 게 한 사례다. 데이터 처리 및 관리 솔루션 개발, 데이터 구축 및 컨설팅 서비스업, 데이터 판매 및 제공 서비스업으로 구성된 국내 데이터산업 시장 규모는 2019년 16조9,000억원에서 2021년 21조5,000억원으로 불어났다. 데이터산업 융합 밸리 조성이 실현되면 지역의 청년들은 데이터 전문가로 성장하고 지역경제는 한 단계 더 도약할 것이다. 때맞춰 강원특별자치도가 출범한다. 관련 규제 개선과 제도 보완을 속도감 있게 추진할 수 있는 기회다. 지금이야말로 강원도의 데이터산업 육성을 위한 마지막 골든타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