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강원도내 소비자물가가 지난해 6.0%로 전국에서 가장 높이 치솟은 것으로 확인(본보 지난 2일자 7면 보도)됐다. 가뜩이나 경제적 기반이 약한 곳에 거주하는 상황에서 물가상승률까지 전국 최고를 기록하자 주민들 사이에서는 “강원도에 사는게 죄냐”는 자조섞인 푸념이 흘러나왔다. 강원도 물가 상승의 원인은 ‘허약한 교통인프라’ 때문이었다. 최근 강원도의 대형 SOC사업들이 진행중이지만 실제 완공까지는 아직 멀은데다 지역과 지역을 연결하는 도로망은 여전히 빈약하기 그지없기 때문이다.
■강원 물가상승률 1위=강원도 물가상승률은 IMF인 1998년과 금융위기를 겪은 2008년 등 경제적 위기가 닥칠 때마다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여왔다. 실제로 1998년 도내 물가는 1년전 대비 8.8% 상승해 전국 평균 상승률 7.5%를 1.3%포인트 앞섰다. 2008년엔 5.3% 올라 전국 4.7%를 웃돌았다. 지난해에도 도내 물가는 6.0% 상승하면서 전국 평균 5.1%를 크게 상회한 것은 물론 가장 상승률이 낮았던 서울(4.5% 상승)과 비교하면 1.5%포인트나 높았다.
■취약한 교통인프라=이는 열악한 교통인프라가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강원도 지역의 경우 면적에 비해 인구가 적고 도로사정이 좋지않다보니 자가용 없이는 이동이 쉽지 않다. 또 시·군 등에 농식품, 생필품 등이 공급돼야 하지만 부실해 교통망으로 인해 물류비용이 타 지역에 비해 높다는 것이 한국은행 강원본부의 분석이다. 이 과정에서 석유류 사용이 많아질 수 밖에 없고 국제유가 상승분이 고스란이 강원도 물가로 잡히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은행 강원본부 관계자는 "부족한 교통인프라를 개선하지 않을 경우 강원도내 석유류 소비 수준은 여전히 높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낮은 생산 구조도 문제= 여기에 강원도내 생산 클러스터가 부족해 평균 자체생산 비율이 20%에 그치는 점도 물류비용을 부추기는 주요 원인이다. 나머지 80%는 전부 타 지역이나 해외에서 들여오다 보니 교통상황이 좋지 않은 강원도까지 전달되기 위해서는 추가 소요비용이 들어갈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는 지역 자금의 역외유출을 가져와 경제 기반을 더욱 취약하게 만드는 상황을 초래한다.
■지역교통망 확충 시급=전문가들은 해결책으로 부족한 도내 교통인프라 개선을 위해 도로망 확충 필요성을 지적하고 있다. 인구가 획기적으로 증가할 수 없는 상황에서 교통 흐름을 대폭 개선해 물류 비용을 줄이면 물가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이는 서울~양양 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춘천~속초 고속화철도, KTX 강릉선 등 도내를 관통하는 대동맥 이외에 18개 시·군을 쉽고 빠르게 연결하는 모세혈관 역할을 할 도로가 필요하다는 점과 연결된다.
양오석 강원대 경영회계학과 교수는 “강원도내 고물가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첫 번째 과제는 교통 인프라 확충을 통한 물류비용 절감”이라며 “광역·기초지자체들이 기초 원료와 부품을 생산하는 기업을 많이 유치해 지역 내 생산원가도 낮춰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