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년 연속 전국 최고치다. 강원지방통계지청의 ‘2022년 4분기 및 연간 강원지역 경제동향’에 따르면 도내 물가는 6.0% 상승, 2021년 2.8% 상승에 이어 전국에서 가장 높게 치솟았다. 도내 소비 동향을 뜻하는 소매 판매는 0.6% 감소했다. 전국적으로 거리두기 해제에 따른 소비심리가 확대된 데 비해 강원도는 오히려 물가 상승 여파로 하반기로 갈수록 소비가 위축됐다. 소비자물가가 천정부지로 뛰면서 도민들은 외출해서 음식을 사 먹거나 장을 보기가 두려울 정도라고 한다. 그러나 가계의 고통을 줄일 수 있는 물가 안정 대책은 보이지 않고 있다.
도내 내수 소비가 감소하고 수출이 둔화하는 등 경영 환경이 악화되자 기업들의 고용 실적도 낮아졌다. 지난해 4분기 강원지역 고용률은 전년 동분기 대비 0.2% 하락, 전국에서 유일하게 역성장했다. ‘밥상물가’로 불리는 소비자물가가 치솟고 고용률은 낮아졌으니 도민들이 체감하는 경제고통지수는 전국에서 가장 높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경제고통지수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에 실업률을 더한 지표다. 영세상인과 취약계층들은 외환위기 이후 최대로 오른 소비자물가와 고용률 하락으로 더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다. 이대로 가다간 지역의 서민경제가 붕괴될 수도 있다.
도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국 최고인 데에는 교통비와 물류비 급등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가뜩이나 교통망이 열악한 상황에서 국제 석유류 가격 상승이 지역 내 수송비용을 압박, 전체 물가를 밀어올렸다는 것이다. 실제 지난해 도내 교통물가는 12.3% 폭등해 전국 평균 9.7%보다 2.6%포인트나 높았다. 교통이 편리한 서울(7.6% 상승)에 비하면 두 배 가까이 높은 상승 폭이다. 더욱이 공공요금을 포함한 강원지역 ‘주택, 수도, 전기 및 연료’ 물가가 8.7% 급등, 전국 평균물가 5.5%를 크게 웃돌았다. 공공요금 상승으로 인한 지역민들의 고통이 타 지역보다 컸을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지난달 물가도 전국 최고를 기록하는 등 당분간 물가 안정을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점이다. 가계 수입이 물가 상승률을 상회하지 않는 한 지출 부담은 늘어날 게 뻔하다. 취약계층이나 서민층의 고충은 더 할 것이다. 무조건 지출을 줄이는 것도 한계가 있다. 불안감이 커질 수밖에 없는 이유다. 정부와 지자체가 함께 대책을 세워야 한다. 지역경제 관련 기관들도 물가 안정을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방안을 동원해야 할 것이다. 그래야 모두가 이 위기를 무사히 넘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