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5년 이후 8년이나 끌어온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환경영향평가 통과의 결정적 배경은 합의에 의한 ‘보전과 활용의 절충안’ 모색이었다.
첨예한 찬반 대립을 빚어온 전국적 이슈인 만큼 강원도와 양양군은 친환경적인 공사와 운영 방안 수립에 심혈을 기울였다.
강원도와 양양군은 환경영향평가서 본안 제출 이후 보완서와 재보완서 등 총 3번의 검토·분석을 통해 친환경 오색케이블카 설치를 위한 대안을 마련했다. 특히 환경부가 요구했던 산양 위치추적기 부착 및 위성항법장치(GPS·자동위치파악시스템) 분석, 박쥐 초음파 추적 결과 분석, 지주 및 건축물 최상단 높이 풍속 및 풍향 실측 등은 사실상 불가능한 요구였다.
그러나 지난해 5~6월 강원도와 양양군, 원주환경청이 6차례의 실무 협의를 거치면서 극적으로 사업 추진 방안을 모색하게 됐다.
양양군은 사업 추진 과정에서 가장 논란이 됐던 산양 등 법정보호종에 대해 무인센서카메라 및 현장조사를 병행, 서식 현황자료를 제시했다. 독소조항이었던 산양 GPS 부착은 문헌자료 등으로 대체했다.
또 식별이 어려운 박쥐 초음파 조사는 기존 조사 자료와 추가 현장 자료를 실시했고, 조류와 하늘다람쥐, 무산족제비 등의 멸종위기종은 산양 조사와 함께 실시했다. 공사로 인해 일시적으로 발생한 훼손에 대해서도 양양군은 추가 식물조사 결과를 제시했다.

산양의 행동권에 미칠 영향을 최소화하고 아고산대 보존을 위해 노선 연장을 3.5㎞에서 3.3㎞로 단축시켰다. 상부정류장 위치를 해발고도 1,480m에서 1,430m로 하향 조정하는 등 적절한 합의점도 찾았다. 돌풍 등에 대비해 설계 기준을 보강하고 공사 중 소음·진동·대기오염을 줄이기 위해 가설삭도 공법을 도입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헬기 운행을 줄이고 디젤발전기 대신 중청대피소에서 전기를 인입하기로 합의했다.
김진하 양양군수는 “9년 정도 환경 협의를 거치며 친환경적인 설치·운영에 대한 공감대가 거의 완성됐다. 공사와 운영 과정은 물론 수익을 어떻게 친환경으로 환류시킬지에 대해서도 모두 계획에 담았다”면서 “국민적 공감대 없이 이 사업은 완성될 수 없다. 국립공원과 문화재를 국민 누구 향유할 수 있도록 친환경적인 설치 운영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