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지방통계지청이 올 2월 도내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5.3% 뛰었다고 지난 6일 밝혔다. 도내 소비자물가는 2022년 12월 이후 3개월 연속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물가 상승률을 보였다. 2월 기준 물가로는 1998년 2월(10.1%) 이후 25년 만에 가장 높았다.
특히 시중 냉면과 비빔밥의 가격이 1만원에 육박하는 등 외식물가는 고공 행진을 이어 가고 있다. 도내 식자재 가격도 줄줄이 올라 국산 양파 1㎏ 평균 가격은 2022년 2월 2,199원에서 1년 만인 지난달 3,010원으로 1,000원 가까이(36.9%) 급등했다. 풋고추 100g은 같은 기간 1,468원에서 1,954원으로, 애호박은 1,990원에서 2,634원으로 각각 33.1%, 32.3% 치솟았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물가 상승세는 석유류, 외식비 등 일부 품목에 국한됐고 인상률도 감내할 만한 수준이었다. 하지만 최근의 물가 상승세는 석유류, 농축산물, 공공요금, 가공식품, 외식비 등 전방위로 확산되는 데다 상승 폭 자체도 소비자의 지갑을 닫게 할 정도로 크다. 향후 물가가 오를 것으로 보는 기대 심리가 확대되면서 개별 상품과 서비스 가격이 인상되고 그 여파로 전체 물가가 더 오르는 악순환이 이미 시작되고 있다. 지금의 물가는 각종 요금 인상 제한이나 세금 인하 같은 국지적 조치만으로는 잡을 수 없는 속도로 뛰고 있다. 물가는 원상 회복이 어려운 경직성이 있다. 식제품이나 외식 가격 등이 오른 가격으로 고착되는 게 대표적이다. 여기에 금리 급등에 따른 상환 부담 등을 감안할 때 서민·중산층 생활형편 악화는 실질 및 가처분소득 위축 경로를 타고 구조화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단기 물가정책을 넘어 고물가 부담이 큰 서민·중산층에 대한 구조적 대책이 필요하다.
앞으로 유동성, 금리, 부동산, 유가, 공공요금에 확장 재정까지 변수가 많다. 정부와 자치단체는 어떤 처방으로 물가를 안정시킬 수 있을지 지혜를 짜내야 한다. 물가정책이 미흡하면 고물가로 인해 국민의 삶이 고통스러운 상황이 오랜 기간 지속될 수 있다. 자칫하면 나라경제가 무너질 수도 있는 위기를 맞을 수도 있다. 인플레의 악순환을 차단하고 민생 고통을 최소화하는 정부와 자치단체의 리더십이 발휘돼야 할 때가 바로 지금이다. 경제 체질을 개선하고 구조를 개혁해 경제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나가야 함은 물론이다. 또 금융위기와 코로나 팬데믹을 거치며 이어진 장기간의 ‘유동성 파티’를 정상화하는 데에는 오랜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 긴축의 시대를 빠르게 벗어나기 힘든 현실을 올바로 인식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