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도 전역 잇단 산불, 장·단기 모든 대응책 강구를

강원도 전역에 건조주의보와 함께 산불위기경보 ‘경계’가 내려졌다. 지난달 30일 낮 12시47분께 화천군 화천읍 중리 53번지 일대에서 산불이 발생했다. 이번 산불로 축구장 면적 95배 규모인 산림 68만㎡가 소실된 것으로 추정된다. 다행히 민가 등으로 불이 번지지는 않아 인명 및 재산피해는 없었다. 매년 3, 4월이 되면 연례행사처럼 산불로 나라 전체가 위기를 맞고 있는 만큼 정부와 자치단체는 산불 대책 총 점검에 나서야 한다. 산불이 잦고 큰 피해가 집중되는 강원도의 경우 산림 정책을 더욱 정교하게 다듬어야 할 때다.

소나무 위주의 단순림 정책이 산불에 취약한 것은 아닌지도 따져볼 일이다. 2000년 동해안 산불 당시 야간의 강풍 속 동시다발적 산불에 헬기도 속수무책이고, 큰 산불은 반드시 도심을 위협한다는 교훈을 얻었다. 주무관청의 최고 성과였던 과학기술에 기반한 스마트한 산불 대응도 무용지물이었다. 100여대의 진화 헬기도, 수천명의 인력 동원도 넓게 퍼진 산불을 감당하기엔 역부족인 상황이 되고 말았다. 더 이상 기후 탓, 시대 탓만 할 일이 아니다. 모든 것을 원점에서 문제점을 찾고 실효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2005년 낙산사를 소실시킨 양양 산불과 2019년 동해안 산불에서 야간에 강풍을 동반한 산불은 항공진화로도 불가하다는 것을 경험했다. 더는 항공진화에 매달릴 것이 아니라 지상에서 확산을 저지할 수 있는 장비 확충 및 기술 고도화를 이뤄야 한다. 또 강제적 산불방지 조례의 제정이다. 최근 10년 이내의 건립된 주택과 향후 신축될 주택은 ‘화재안전구역(Fire Safety Zone)’을 구축하는 것이다. 주택과 도심 주변 10~100m 이내에 존재하는 숲의 가연성 물질을 제거하고 방화수림대를 조성하며 부락 단위 비상소화장치를 설치한다. 또 산지 주변 건축물의 재료 선정에 행정이 개입하는 것이다. 석유계 유기화합물로 제조된 루핑은 시공성, 경관성 측면에서 매우 훌륭한 건축 재료이나 산불피해 사례가 많다. 산지 주변에서의 건축물 지붕 재료와 건축 재료에 대해 난연성, 가연성을 기준으로 건축 승인 시 안전을 위한 규제가 필요하다.

그리고 산불피해를 지역 발전의 전환기로 삼아야 한다. 조속한 복구도 중요하지만 ‘신속한 복구계획 수립, 당년 내 완료’라는 목표는 피해지역의 원상 복구는커녕 21세기 생업과 생활을 보장하는 산촌 재생을 담보하지 못한다. 행정 일방의 복구 활동이 아닌 주민과 쌍방향으로 소통하는 산지 복구, 농산촌 복구가 돼야 한다.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