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지진 취약한 ‘노후 아파트’ 동해안에 가장 많아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1988년 이전 지어진 아파트 강릉, 동해 최다
민간 건축물 10곳 중 9곳도 지진 안전 취약
내진 보강 지원사업 참여 저조해 활성화 필요

◇지진 대피 훈련. <사진=연합뉴스>

지진에 취약한 '노후 아파트'들이 강원 지역은 동해안에 몰려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올 들어 동해안에 지진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안전 대책 강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6일 강원도에 따르면 국내에 내진 설계 의무화가 이뤄진 1988년 이전 지어진 노후 아파트는 도내 134 단지로 도내 전체 아파트(1,270단지)의 11%에 달했다.

노후 아파트를 시군별로 보면 강릉이 43단지로 가장 많았고, 동해가 20단지, 삼척·춘천이 각 14단지, 원주 11단지, 태백 10단지, 속초 8단지 순이었다.

국내 내진 설계 기준은 1988년 처음으로 만들어져 수 차례 강화됐다. 규모 5.0 이상이었던 2016년 경주, 2017년 포항 지진을 계기로 건축법이 개정됐고, 현재 내진 설계 의무 기준은 '2층 이상 또는 높이 13m 이상, 연면적 200㎡ 이상 건축물·공동주택' 이다.

이 기준으로 보면 강원도의 민간 건축물 10곳 중 9곳은 내진 설계가 안 돼 있거나, 내진 보강을 하지 않아 지진에 무방비 상태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도내 민간 건축물 33만 7,127동 가운데 내진 성능이 확보된 곳은 3만 7,537동으로 내진율이 11%에 그쳤다.

정부는 민간 건축물의 내진 보강을 위해 국비를 지원하는 사업을 추진 중이지만, 참여도는 매우 저조하다.

2021년부터 민간 다중이용 건축물(의료시설, 보호시설 등)이 지진 안전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사업비의 90%를 지원 중이지만, 지난 2년간 평가를 받은 곳은 3곳에 그쳤다.

내진 보강 지원사업을 통해 전체 사업비(2억 5,000만원)의 90%를 국비로 지원 중이지만, 이 사업을 신청한 곳도 없다. 지진 안전에 대한 관심이 저조한 현실을 보여준다.

강원도 관계자는 "올해부터 찾아가는 설명회를 통해 민간 건축물의 내진 보강 사업을 활성화 시키겠다"고 말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