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내 물가상승률이 18개월 만에 3%대로 떨어졌다. 강원지방통계지청이 발표한 ‘2023년 4월 강원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도내 소비자물가지수는 112.36(2020년=100)으로 1년 전에 비해 3.7% 올랐다. 이는 2021년 9월 이후 가장 낮은 것이다. 국제 석유 가격 안정화에 따라 지난달 석유류 가격이 전년 동월 대비 15.0% 하락한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도내 물가 산정 시 석유류 가중치가 크다 보니 전체 물가상승률이 낮아졌다. 경유 가격이 19.2% 급락했고 휘발유 값과 자동차용 LPG 값은 각각 17.3%, 14.6% 내려갔다. 도내 교통 물가 역시 7.1% 떨어졌다.
하지만 물가 안정을 기대하긴 아직 이르다. 악재가 곳곳에 잠복해 있기 때문이다. 당장 서민들은 물가상승률 둔화보다는 전기·가스요금 인상 예고에 더 불안해하는 분위기다. 전기·가스요금은 애초 지난달 예정됐던 전기요금 인상이 정치권의 제동으로 미뤄진 결과다. 계속 누를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 정부가 조만간 전기·가스요금 인상에 나서면 물가 전반에 주는 상승 압력이 커질 수밖에 없다. 국제 유가도 아직 불확실성이 크다. 산유국 협의체인 OPEC+가 추가 감산을 결의한 데다 중국의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으로 하반기 원유 수요는 더 늘 수 있다. 개인서비스물가가 고공행진을 하고 있다는 점도 부담이다. 지난달 외식물가가 7.6% 오르며 전체 물가를 0.98%포인트 끌어올린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도내의 경우 생활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3.7%, 신선식품물가지수는 4.8% 각각 뛰었다. 식자재 값 급등에 따른 외식비용 상승은 여전히 가파르기 때문에 서민들을 압박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는 외식업계가 인건비·재료비 등 원가 부담을 소비자에게 떠넘기고 있다는 방증이다.
물가상승률은 정부의 물가 안정 목표(2%)와 아직도 거리가 있다. 물가 상승 폭은 다행히 둔화 추세이지만 체감은 쉽지 않다. 피부에 와닿는 외식물가는 여전히 고공행진 중이라서다. 고물가와 고금리가 지속되면 소비는 위축될 수밖에 없다. 정부가 내수 진작을 위해 전력을 경주하고 있지만 경기 둔화는 장기화될 수 있다. 임금 상승은 제한적인데 물가를 잡지 못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정부와 당국은 상고하저 낙관론에 매달리지 말고 모든 정책 수단을 동원, 지속적인 물가 안정에 총력 대응해 나가야 한다. 물가를 자극할 포퓰리즘 선심 정책도 서둘러 정리하는 것이 마땅하다. 고물가 시대 합리적 소비 문화도 정착돼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