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양 보호 문제로 발목이 잡혀 무산 위기에 놓였던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사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오색케이블카가 사실상 마지막 관문인 지방재정 중앙투자심사를 통과했기 때문이다. 환경영향평가에 이어 정부의 투자심사까지 통과, 늦어도 8월 전에 모든 행정절차가 마무리될 예정이다. 연내 착공도 확정적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남은 행정절차는 국토교통부의 특별건설 승인, 환경부와 산림청의 백두대간 개발행위 사전협의, 산림청의 산지일시사용허가, 국유림이용허가 등 총 10개다. 이 절차들도 이르면 다음 달 중 또는 늦어도 8월에는 모두 완료될 것으로 예상된다.
강원특별자치도는 오색케이블카 착공을 세대와 지역을 뛰어넘는 강원 관광 대전환의 계기로 만들어야 한다. 케이블카가 건설되면 노약자와 장애인까지 천혜의 경관을 누릴 수 있게 된다. 모든 국민이 국립공원에 대한 접근 향유의 기회를 공정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자연환경 보전과 지역경제 살리기가 공존하는 귀중한 사례가 된다. 설악산을 온전히 지켜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너무 많은 사람이 찾으면서 신음하고 있다. 따라서 친환경적인 케이블카를 설치해 설악산을 보호하고 치유하는 것은 인간과 자연의 공생 철학을 실현하는 길이다. 설악산의 관광자원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다면 이 또한 올바른 선택이 아니다. 지역경제 활성화는 물론 주민의 생존권을 박탈하는 것이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자연경관과 잘 어우러지는 케이블카는 설악산 환경 보전과 지역경제 활성화, 대한민국 관광의 효자가 될 것이다. 오색케이블카는 차질 없이 진행돼야 한다. 강원 관광산업, 나아가 대한민국 관광산업의 허브가 될 수 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협조가 필요하다.
지난 9일 특별자치도 출범식 이후 비공개 오찬에서 김진태 지사는 윤석열 대통령에게 오색케이블카 착공식이 확정될 경우 참석을 요청한 것으로 전해진다. 대통령이 참석해 힘을 실어주면 오색케이블카 설치는 더욱 빨라질 수 있다. 강원특별자치도는 지금부터 오색케이블카 기대 효과에 부응하도록 강원 관광의 경쟁력을 전반적으로 점검해야 한다. 인식의 대전환이 중요하다.
원대한 구상도 좋지만 섬세한 정책이 뒷받침돼야 한다. 강원특별자치도를 찾아오는 관광객들이 지역에 머물 수 있는 환경부터 만들어야 한다. 특히 지난해 도내 겨울축제에는 수많은 외지 관광객이 방문했지만 저녁에는 밀물처럼 빠져나가는 일이 허다했다. 숙박시설이 빈약하기 때문이다. 강원 관광의 선두 그룹인 강릉, 춘천, 원주조차도 편차가 크다. 강릉에서는 사람들이 자고 가도록 객실 프로모션을 하고 있지만 춘천과 원주에는 특급 호텔이 전무하다. 관광산업이 회복되고 있는 지금 다양한 방법으로 관광객을 모을 수 있지만 이들을 어디서 재워야 하는지 고민해야 한다. 강원특별자치도의 ‘체류형 관광’ 실태부터 점검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