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특별자치도는 거미줄처럼 얽힌 규제의 족쇄에서 벗어나 ‘미래산업 글로벌 도시’로 거듭나기 위한 강원특별자치도 출범 이후 10년 대계 기본구상인 ‘미래강원 2032 발전전략’을 19일 발표했다.
미래강원 2032 발전전략은 민선 8기 새로운 3대 도정목표(인구200만, 지역내총생산 100조원, 사통팔달 수도권 강원시대)와 강원특별자치도 특례(자치분권과 규제혁신)등을 바탕으로 한 향후 10년간의 발전전략이다.
5대 관광벨트와 5대 첨단산업 클러스터 조성, 사통팔달 교통망 구축이 핵심이다.
글로벌 관광도시로의 도약을 위한 5대 관광벨트는 DMZ생태 벨트, 스마트 휴양도시벨트, 고원 웰니스벨트, 글로벌 관광도시 벨트, 해양설악벨트 등이다.
또 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모빌리티, 친환경 에너지, 접경지역 산업 등 5대 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한다. 강원첨단과학기술단지‧연구개발특구 특례 등을 활용, 미래산업 육성 기반을 조성하고 미래 먹거리 산업과 지역특화 산업을 육성한다.
사통팔달 교통망 구축은 수도권과 1시간대 교통망 완성을 위해 9대 추진전략, 31개 정책과제로 구성했다.수도권과 동등한 주거‧교통 생활권 인프라를 구축하겠다는 개념이다. 수도권 및 내부 순환 도로‧철도망 연결을 통해 수도권에서 영서권 60분대, 영동권 90분대 광역 교통망을 구축할 계획이다.
목표 실현 시 2032년 강원특별자치도의 연간 체류‧방문인구는 현재 1억5,000만명에서 1억9,000만명으로 늘어나고 1인당 GRDP 또한 3,000만원에서 6,000만원으로 2배 증가된다.

이번에 수립한 미래강원 2032 발전전략은 강원특별법의 특례가 본격 시행되는 내년 6월 법정계획으로 수립될 ‘미래산업 글로벌 도시 종합계획’의 정책방향 및 기본전략 등으로 활용한다.
김진태 강원특별자치도지사는 “도민의 힘으로 만든 ‘도민의 특별자치도’에 부여된 특별한 지위와 권한을 잘 살리고 활용해 강원특별자치도가 ‘대한민국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의 선도 모델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며 “민선 8기 3대 도정 목표 실현의 차질 없는 추진으로 ‘새로운 강원, 특별 자치시대’를 열어 가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