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남녀 임금 격차 해소, 저출산 위기 하나의 ‘해법’

도내 노동시장의 성별 임금 차이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지역별·산업별 노동시간 분석 통산 미래 유망직종 직업교육훈련 분야개발’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4월 기준 도내 근로자 월평균 임금은 여성 월 185만5,000원, 남성 월 283만9,000원이다. 남녀 간 임금 격차가 34.1%에 달했다. 도내 성별 임금 격차는 제주(27%), 대구(32.1%), 세종(32.4%), 전북(33.7%)에 이어 다섯 번째다. 그렇지 않아도 같은 기간 도내 근로자 월평균 임금은 232만6,000원으로 전국 17개 시·도 중 최저다. 전국 평균(274만9,000원)보다 42만원 낮고, 전국 최고 임금을 기록한 세종시(329만6,000원)와 비교하면 100만원 가까이 모자라는 액수였다. 양질의 일자리에 여성 고용률을 높이고 일·생활 균형을 확립하는 것이 시급한 상황이다.

도내 성별 임금 격차는 공공행정·국방 업종의 경우 39.9%로 가장 컸고, 제조업(37.9%), 전기·가스·증기 공급업(37.7%), 농림어업(36.6%), 금융·보험업(36.2%) 등이 뒤를 이었다. 임금 격차가 가장 작은 업종은 보건·사회복지 서비스업(10.7%)이었다. 여성을 향한 차별·불공정이 사회 전반에 퍼져 있는 셈이다. 또 30대를 기점으로 남성 고용률은 증가하는 반면 여성 고용률은 급락한다. 원인으로 결혼과 출산, 육아 등에 따른 경력단절 등이 꼽힌다. 하지만 여성의 고용 실태를 보면 경력단절 이후만이 아니라 ‘전 생애주기’에 걸쳐 차별이 존재한다. ‘채용 시 성차별’을 법으로 금지하고 있지만 기업의 남성 선호는 여전히 높다. 이렇게 밀려난 여성들의 고용의 질은 계속 떨어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치열한 경쟁과 차별을 뚫고 직장에서 살아남았다 해도 결국엔 유리천장을 깨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물론 성별 임금 차이가 도내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우리나라의 성별 임금 격차는 27년 연속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위다. 이는 여성들이 비혼과 출산 거부를 택하는 현실로 이어지고 있다. 여성 근로자의 임금 문제를 단순히 비용 증가의 부정적 측면만으로 접근할 게 아니라는 의미다. 지역 소멸 위기 등 최악의 저출생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임금 평등이 선결 과제다. 무엇보다 여성 노동의 가치가 폄훼되지 않고 정당하게 존중받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돼야 한다. 경력단절 지원제도나 임금공시제를 넘어 채용, 임금, 승진 등 노동 현장의 구조적 개선과 함께 구시대적 관행의 타파, 여성의 생애주기 전반에 걸친 사회적 제도들까지 지금보다 적극적으로 논의되고 시행돼야 한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 & 피플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