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의 해양 방류 계획에 대해 국제안전기준에 부합한다고 4일 밝혔다.
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은 이날 일본기자클럽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를 만나 종합 보고서를 전달했다면서 이 같은 결론을 전했다.
그는 "2년간에 걸쳐 평가를 했다"며 "적합성은 확실하다, 기술적 관점에서 신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번 보고서는 과학적으로 답을 낸 것이라고 덧붙였다.
IAEA는 해양 방류 방침을 정한 일본의 요청을 받고 2021년 7월 11개국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태스크포스(TF)를 구성, 그동안 부문별 중간보고서를 냈으며 이날 포괄적인 평가를 담은 종합 보고서를 발표했다.
그로시 사무총장은 이와 관련해 "일본 정부가 결정했고 IAEA가 검증을 했다"고 설명했다.
IAEA는 그로시 사무총장의 기자회견 시점과 거의 동시에 보고서 내용을 소개하는 보도자료를 내고 "현재 도쿄전력이 계획하고 평가한 바와 같이 오염수를 통제하고 점진적으로 바다에 방류할 경우 인체와 환경에 미치는 방사능 영향이 미미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로시 사무총장은 이 자료를 통해서도 "오늘 발표한 보고서는 우리의 검토 과정에서 중요한 이정표이지만 우리의 임무는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면서 "모든 이해 관계자가 검증된 사실과 과학에 입각해 방류 절차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국제사회에 투명성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우리의 안전성 검토는 방류 단계에서도 계속될 것이고 지속해서 현장에 상주할 것"이라며 "웹사이트를 통해 방류 시설에 대한 실시간 온라인 모니터링 내용을 공개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일본 정부는 IAEA의 이번 종합 보고서가 오염수 해양 방류에 상당한 명분을 제공할 것으로 보고 앞으로 대내외 설득 자료로 활용할 방침이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마쓰노 히로카즈 관방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처리수의 안전성에 대한 국제사회의 이해를 얻는 데 IAEA의 보고서는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 정부의 후쿠시마산 수산물 수입 규제 방침과 관련한 질문을 받고 "처리수의 해양 방출 안전성에 대해 높은 투명성을 갖고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국제 사회의 이해가 심화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동일본 대지진 뒤 일본산 식품 수입 규제의 철폐가 계속 정부의 중요 과제이며, 부처 간에 협력하면서 적절한 형태로 대처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유럽연합(EU)은 2011년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폭발 사고 이후 시행한 일본산 식품의 수입 규제를 완전히 철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교도통신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 등 일본 언론들이 지난달 30일 보도한 바 있다.
한편 그로시 사무총장은 7일까지 일본에 머물며 일본 정부 부처 관계자들과 만나고 후쿠시마 제1원전도 둘러볼 계획이다.
이어 오는 7일부터 9일까지 2박3일 일정으로 한국을 방문해 관계자들에게 보고서에 대해 설명할 예정이다.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오염수 처리와 관련한 주요한 경과]
▲ 2011.03.11 = 규모 9.0 동일본대지진·쓰나미로 후쿠시마 제1원전 내 전원 상실 →1·2·3호기 노심 손상(용융)→1·3·4호기 연쇄 수소폭발(2호기는 1호기 폭발 충격으로 원자로 건물에 구멍 생겨 폭발은 면함…점검 중이던 4호기는 핵연료 미장전 상태에서 3호기 연결 배관망 통해 유입된 수소가스 폭발) →용융 핵연료 냉각수에 빗물·지하수 유입 등으로 방사성 물질 오염수 발생.
▲ 2013.03.30 = 오염수 정화처리 장치인 '다핵종제거설비'(ALPS·알프스) 시운전 개시
▲ 2015.08 = 일본 정부 "관계자 동의 없는 처분 안 해" 후쿠시마 어업인 단체에 문서로 약속
▲ 2016.06 = 전문가 회의, 오염수(알프스 처리수) 처분 방법으로 해양방류, 대기(수증기 증발) 및 전기분해(수소·산소) 방출, 지층주입, 지하매설 등 5가지 검토안 가운데 해양방류가 '최단기간에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시행할 수 있는 안이라는 시산(試算) 의견 공표.
▲ 2020.02.10 = 일본 정부 소위원회, 최종보고서 통해 해양방류, 대기방출안 제시하며 해양방류가 한층 현실적인 안이라고 부언.
▲ 2020.02.26 = 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 후쿠시마 제1원전 방문…현지 기자회견 통해 "기술적 관점에서 볼 때 국제관행에 부합한다"고 오염수의 해양방류 지지 발언.
▲ 2021.04.13 = 일본 정부, 각료회의서 해양 방류안 공식 결정
▲ 2021.07 = 일본 정부, IAEA와 안전성 검증 실시에 합의
▲ 2021.08 = 도쿄전력, 원전 오염수 방류 위한 해저터널 계획 발표
▲ 2023.01 = 일본 정부, "방류 개시는 올해 봄부터 여름 무렵 사이" 확인
▲ 2023.06.26 = 도쿄전력, 1㎞ 해저터널 공사 완료
▲ 2023.06.31 =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 방류 설비 최종 검사 완료
▲ 2023.07.04 = IAEA, 종합보고서 발표. 오염수 해양 방류 계획이 국제 안전기준에 부합한다고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