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이슈현장]시, 생활폐기물 문제 적극 대처키로

쓰레기 문제 없는 환경도시 만들자

재활용품의 무분별한 배출과 수거지연 등 생활폐기물 처리가 원주시의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급격한 인구증가와 도시팽창으로 쓰레기 발생량이 증가하고 있는데다 비양심적인 시민들의 무단투기로 종량제 배출제도가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시는 이에 따라 생활폐기물 등 쓰레기 문제에 적극 대응하기 위한 장·단기 대책 등을 마련하고 문제해결에 적극 나서고 있다.

■생활폐기물 처리 실태

시의 생활폐기물 처리는 종량제봉투 배출 폐기물과 음식물류 폐기물, 대형폐기물, 재활용 폐기물 등 4가지 분야로 나뉘어져 있다.

시는 재활용 폐기물 처리를 제외하고 매년 공개경쟁을 통해 처리업체를 선정, 생활폐기물을 처리하고 있다.

시에 따르면 시 종량제봉투 배출 폐기물은 연간 총 3만3,841톤으로 이 중 재활용되는 1만3,500톤을 제외한 2만341톤이 매년 매립되고 있다.

이를 위해 원주전역을 4개 권역으로 나눠 연 22억여원의 예산을 투입해 처리하고 있으며 2006년 9월부터는 생활폐기물 연료화시설(RDF)이 준공돼 현재 일일 80톤의 생활폐기물을 연료화하고 있다.

음식물류 폐기물 발생량의 경우 34억5,000만원의 예산을 들여 거점 수거방식으로 일일 79톤을 수집·운반처리하고 있다.

또 연간 6,523건이 발생하는 대형 폐기물의 수집·운반은 위탁계약을 체결해 배출자와 처리업체 간의 연락을 통해 재활용선별장까지 운반, 처리한다.

가로청소, 재활용가능폐기물 수집운반, 재활용 선별장 운영 등의 청소사무 민간위탁분야는 2001년 3월부터 시작돼 올해는 6개월분으로 28억2,400만원에 위탁됐다.

■문제점 및 장·단기 대책

시는 무단투기와 재활용품 혼합배출, 폐기물 배출 및 수집·운반 처리체계 미흡을 비롯해 고용승계조건 유지, 민간위탁의 한계 등을 가장 큰 문제점으로 보고 장·단기 대책을 수립해 추진키로 했다.

단기 대책에는 공무원과 주민감시원 등으로 구성된 지도점검반을 3개조 9명으로 편성, 위탁업체는 물론 폐기물 배출업체에 대한 지도점검을 강화하는 한편 현재 19곳의 폐기물 무단투기 감시 폐쇄회로(CC)TV를 25곳으로 늘리고 자활근로자 등 37명을 각 읍·면·동에 고정배치, 무단투기에 대해 집중 단속할 예정이다.

5월부터는 시청 직원들로 구성된 야간단속반을 편성, 상습투기지역을 대상으로 주2회 야간단속활동도 전개키로 했다.

오는 7월부터 우산동을 대상으로 음식물 수거방식을 집 앞에서 수거하는 방식으로 변경해 시범실시한 뒤 2009년부터는 전 지역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장기 대책에는 폐기물 배출장소 지정에 따른 민원해소를 위해 2010년부터 현재의 거점수거방식에서 문전수거방식으로 변경하는 안을 검토중에 있다.

또 2011년까지 흥업면 사제리 일대 16만7,000㎡에 조성된 기존 광역쓰레기매립장 주변에 추가로 14만6,000㎡의 매립시설을 확장하는 등 현재 314만㎥의 매립용량을 543만㎥로 늘리고 연료화시설도 증설하는 등 인구 50만 도시에 대비한 폐기물 종합처리단지를 조성 운영키로 했다.

시 관계자는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쓰레기량을 줄이는 것”이라며 “이를 위해 시민의식 교육과 홍보를 강화하고 시민들과 함께 시의 건강한 환경을 보전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원주=원상호기자 theodoro@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