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원산의 황소개구리가 1970년대에 도입됐을 때 언론 보도는 호기심을 자극하는 내용 일색이었다.‘거대 개구리 출현’‘황소 울음소리로 잠 설쳐’‘대형 개구리는 마을의 길조’ 등의 제목으로 지면을 장식했다. 당시 부족한 식량자원을 확보하려는 기대가 엿보인다. 그러나 개구리 뒷다리를 수출하기 위해 들여왔으나 먹이 등 까다로운 식생으로 기르기 어려워지자 사육장을 방치해 자연으로 퍼져 나갔다. 토착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고려되지 않았다. ▼‘길조’가‘원흉’으로 돌변했다는 기사의 등장은 1990년대 들어서면서부터다. 번식이 왕성한데다 물고기, 토종개구리 등 닥치는 대로 잡아먹는 포식성과 천적이 없어 확산이 우려된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생태계의 반란군’ ‘먹이사슬 파괴’ 등의 표제는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했다. 뱀까지 잡아먹고 농업용 저수지를 주름잡는다는 것이 톱기사로 다뤄졌다. 정부에서 서서히 외래종의 생태계 교란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고 전문가들의 연구도 쏟아졌다. ▼황소개구리 보도가 폭주사태를 맞은 것은 1997년 이후다. 전국적으로 대대적인 퇴치작전이 펼쳐졌다. ‘전쟁선포’ ‘현상수배’ ‘민관군이 나섰다’ 등 자극적인 제목과 선정적인 용어로 열기를 부추겼다. 환경부장관 공무원 시민 등 1천여 명이 경기도 안성천에서 퇴치캠페인을 벌였는데 하루 종일 단 1마리를 잡은데 그쳤다며 비꼬기도 했다. 야행성이고 동작이 빨라 요란한 행사나 시간 때우기 식 노력으로 잡는 것은 애초에 불가능한 일이었다고 꼬집었다. ▼‘몸에 좋다’는 것을 입증하려는 시도가 이어졌다. 튀김 시식회가 열리고 보신용으로 개발하는 업자도 나타났다. 사정이 이쯤 되자 ‘황소개구리가 무슨 죄가 있느냐’는 반론이 제기됐다. 군대까지 동원해 잡아 죽인 다음 현장에서 튀김을 만들어 시식하는 환경 관계자들의 행태를 신랄하게 비난하기도 했다.“처음에는 천적이 없어 문제가 됐으나 이제는 생태계 스스로 안정을 찾아간다”는 분석도 나왔다. 이러다 바뀐 생태계에 사람이 적응해야 하는 때가 오는 것은 아닌지. 장기영논설위원·kyjang@kw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