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반복되는 재난 예방이 최선>박창근 환경운동연합 시민환경연구소장

“수해 예방 위해서는 제방 쌓을 게 아니라 물길을 더 넓혀줘야”

박창근(47·관동대교수)환경운동연합 시민환경연구소장은 자연재해는 결국 인간의 편의를 위해 자연을 건드려 놓은 것에 대한 위대한 자연의 경고라고 못을 박고 있다.

수년간 전국의 수해현장을 돌며 수해의 원인과 복구과정을 조사해 온 박소장은 “발생하는 자연재해를 막을 수는 없다”며 “그러나 재해를 배가 시키는 것은 자연을 지배하려는 인간에서 나온 만큼 피해를 줄여 나갈 방안은 당연히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경제 개발이 최우선 과제였던 과거에는 더 빠르고 편리한 도로 건설과 교량 가설이 최대 현안이었지만 이로 인한 무분별한 개발은 재해를 불러들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박소장은 “수해 예방을 위해 제방을 높이 쌓을 것이 아니라 물이 갈 수 있는 길을 넓혀주는게 더 중요하다”며 “보호할 대상도 없는 산간 계곡마다 콘크리트로 사방댐을 만드는 것 역시 자연만 파괴하는 행위”라고 말했다.

박소장은“개발 위주 정책 대신 이제는 자연을 자연에 되돌려줄 때가 왔다”며 “인간만의 하천이 아니라 인간과 생물이 어우러질 수 있는 생태하천만이 정답”이라고 했다.

이어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수해 복구는 여전히 콘크리트로 원상복구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며 “일본은 예방 예산이 복구예산의 수배에 이르지만 한국은 복구예산이 예방예산보다 많다”고 지적했다.

박소장은 “급변하는 기후와 이로 인한 재난은 지금까지의 기록을 모두 깰 가능성이 높다”며 “환경친화적 치수 정책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원주=김영석기자 stone@kwnews.co.kr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