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내년도 생활폐기물 민간위탁 사업자 선정 시 기존 업체를 배제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일고 있다.
2일 원주시에 따르면 그동안 수의계약을 통해 재활용폐기물의 수집·운반·선별·분류 작업을 한 업체가 도맡고 있는 현 체제를 바꿔 내년부터는 선별·분류 작업에 한해 이달 말 공개입찰을 거쳐 사업자를 선정할 방침이다.
최근 환경부가 공개입찰 권고안을 일선 지자체에 내려보낸데 이어 내년 상반기 안으로 폐기물관리법 시행령을 개정해 입법화할 계획으로 알려진 것도 한몫했다.
하지만 가로청소와 재활용품 처리 등을 도맡아 온 기존 업체의 간부들이 지난 9월 초 업무상 배임 및 횡령, 사기 혐의 등으로 경찰에 입건되면서 재활용품 매각대금 환수 등에 관한 이들의 불법 혐의가 도마에 오른 것이 주된 이유로 작용했다.
이 때문에 시의회도 지난 1일 산업경제위원회 소속 의원들과 공무원, 시민·노조단체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간담회를 갖고 업체 선정 시 기존의 재활용 및 대형폐기물 수집·운반 사업자는 제외할 것을 시에 요구했다.
그러나 시가 기존 업체를 임의로 배제할 수는 없다는 입장을 내보이면서 이달 말로 예정된 입찰 전까지 갈등이 예상된다.
송치호 시의원은 “어려운 시기인 만큼 기존 업체 근로자들의 고용승계 문제 등이 남아 있어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한 상황”이라면서도 “기존 사업자의 비위 문제 등으로 공개입찰에서 제외해야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라고 했다.
시 관계자는 “선정과정에서 기존 업체의 과오가 충분히 검토되지 않겠느냐”며 “공개입찰제로 사업자를 선정하는 만큼 참여를 막을 수는 없다”고 말했다.
김명진기자mjkim@kw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