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반복되는 재난 예방이 최선]■강원도와 비슷한 돗토리현 방재는

'자연 최대한 살린다' 공사마다 단서 붙어

◇일본 돗토리현의 방재담당 공무원이 하천터널의 기능과 역할을 설명하고 있다.

강원도와 가장 비슷한 기후와 지형여건을 지녀 자매결연을 하고 교류를 벌여오고 있는 일본 돗토리현의 방재는 사람과 자연이 공존해야 한다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대부분 일본의 방재는 지진을 위주로 하고 있지만 돗토리현의 경우 상습적인 수해를 입는 이치노세지구라는 마을이 있고 이곳의 수해복구는 한국과는 전혀 다른 모습이었다.

공동취재단은 지난 9월4일 이치노세지구 수해복구현장을 찾았다.

1998년 9월 17일 집중호우로 채석장이 붕괴되고 마을이 물에 잠기면서 34가구 121명의 이재민이 발생한 후 2002년과 2004년 잇따라 피해를 입었다.

돗토리현은 2004년부터 3년여에 걸쳐 총 공사비 70억엔(한화 700억원)을 들여 산 정상의 토사 44만㎡를 실어나르는 배출공사를 시작하고 둑쌓기와 하천 유로공사, 식목 등 복구공사와 수해예방공사를 병행했다.

공사에는 ‘자연을 최대한 살린다’는 단서가 붙었고, 이로 인해 토사로 인한 피해가 가장 컸음에도 사방댐은 반드시 필요한 단 한개소에만 설치했다.

이것 역시 지반을 단단하게 하기 위한 것일 뿐, 생태계 단절과는 전혀 무관하다는 설명이다.

특히 또다시 같은 피해를 입지 않기 위한 대책으로 28억엔(한화280억원)을 들여 산 아래에 길이 230m의 커다란 하천터널을 뚫었다.

이 하천터널은 산을 감아돌며 굽이치는 하천의 역류로 인한 침수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아예 물길을 돌리는 역할을 한다.

단 120명의 주민을 위해 700억원을 투입한다는 그 자체도 놀랍지만 언제 또 일어날 지 모르는 수해를 예방하기 위해 산을 통째로 뚫는다는 역발상이 부럽기만 했다.

돗토리 현 관계자는“행정보다는 국민 개인의 행복추구권이 앞서기 때문에 국가나 지방정부가 개인에게 이주를 강요할 수 없다”며 “주민들 또한‘이사 가겠다’는 의사를 먼저 밝혀오지도 않아 아예 검토조차 하지 않고 공사를 시작했다”고 했다.

원주=김영석기자 stone@kwnews.co.kr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