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는 지정학적으로 한강의 상류에 위치하고 있는 이유로 수도권의 맑은 물 공급은 물론 각종 수도권 홍수방어 전략에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강원도는 수도권의 홍수방어 전략에 기여한 바에 대한 보상은커녕 어떠한 대안도 가지고 있지 않음은 아쉬움이다.
또한 최근의 오염총량제에 의한 한강수계 상류의 개발행위 제한으로 인한 각종 불이익이 야기되고 있어 이에 대한 적절한 대안을 마련해야 함이 절실하다.
최근엔 4대강 살리기 사업이 한창이다.
아쉬운 점은 4대강 살리기의 전략이 유역과 수계 중심이 아닌 현안 중심의 관심지역에 대한 개발이다.
하천은 발원지인 상류부터 하류로의 계획이어야 지속 가능한 개발로 이어진다.
기본적인 전략이 무시된 개발은 결코 소정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
그러면 수도권의 맑은 물 공급에 대한 수자원 정책, 수도권 홍수방어 전략의 치수정책, 4대강 살리기에 대한 강원도의 전략은 과연 무엇인가? 전문가 집단의 의견을 토대로 한 도민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이의 달성을 위한 노력이 우선돼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수자원 전략의 미래상, 추진전략과 목표에 대한 정리가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이는 전문가 집단, 시민단체, 도민의 노력에 의해서 이루어져야 하지만 이들의 의견을 창구로 할 수 있는 도의 기구는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최근 강원도 업무에 수자원관리팀 구성을 통한 수자원정책, 치수관리 그리고 4대강 담당 부서의 개편은 다소 늦은 감이 있지만 매우 적절하다.
수자원관리팀의 발족이 맑은 물 제공, 홍수로부터 자유로운 강원, 생물과 사람이 어우러지는 자연생태하천의 제공, 지속 가능한 한강수계의 개발 등에 대해 도민과 전문가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는데 큰 역할을 하기를 기대한다.
최흥식 상지대 건설시스템공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