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공공기관이 ‘원산지표시제’ 외면했다니

공공기관이 원산지표시제를 외면한 것은 비난받아 마땅하다.원주시환경자원사업소, 원주경찰서, 원주소방서, 한전 원주지점 등의 구내식당에서는 원산지 관련 문구를 찾아볼 수 없다.심지어 단속기관조차 시행하지 않았다.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원주출장소를 비롯한 원주지방국토관리청, 북부지방산림청 등이 들어선 정부종합청사도 ‘나 몰라라’ 식이다.이 제도 정착에 앞장서야 할 기관이 오히려 지키지 않았다니 할 말을 잊게 한다.

원산지표시제는 수입 개방에 따른 외국산 먹을거리에 대한 소비자 불안을 해소하고 나아가 국내 농업과 농가를 보호하기 위해 시작됐다.수입산이 밀려오면서 우리 농촌은 풍전등화의 위기에 처한 게 현실이다.그간 원주지역에서는 16곳의 음식점이 원산지 위반으로 적발돼 14곳이 형사입건되고 2곳에 과태료가 부과됐다.그러나 공공기관은 단속에서 제외됐고 한 곳도 적발되지 않았다.힘없는 일반 업소만을 대상으로 행정조치를 하고 실적을 올리는데 열을 올린 것이다.당국의 행정이 얼마나 형평성을 잃었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먹을거리에 대한 주민 불신은 크다.지난해 실시한 도민 의식조사에서는 시장이나 대형 마트에서 구매하는 먹을거리의 안전수준에 대해 응답자의 52.6%가 ‘안전하지 않다’고 답변했다.‘그저 그렇다(38.2%)’는 응답까지 포함하면 10명 중 9명은 신뢰하지 않는 셈이다.원산지표시제가 정착돼야 하는 이유다.업계의 자정 노력과 자발적 동참만 강조할 것이 아니라 공공기관이 솔선수범해야 한다.공공기관의 구내식당이 성역이 될 수는 없다.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