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미분양 주택 한 달 새 199가구 감소

7월 현황 8,788가구 … 춘천에서만 103가구 줄어

준공 후 미분양 물량 66.7% 기록해 여전히 심각

도내 미분양 주택이 200여 가구 감소했다. 3일 국토해양부가 발표한 '지난 7월 말 기준 미분양 주택 현황'에 따르면 도내 미분양 주택은 8,788가구로 전달(8,987가구)에 비해 199가구(2.2%) 줄었다.

지역별로 춘천의 미분양 주택은 896가구로 한 달 새 103가구나 급감했다. 도내 전체 감소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셈이다. 원주와 강릉은 3,823가구와 1,747가구로 각각 47가구와 13가구 줄어드는데 그쳤다.

규모별 도내 미분양 주택은 60㎡ 이하 566가구, 60~85㎡ 4,790가구, 85㎡ 이상 3,432가구로 중대형 규모 이상일수록 미분양 주택이 적체돼 있다.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5,863가구로, 도내 전체 미분양 물량의 66.7%를 차지할 정도로 심각하다.

특히 도내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전달(5,708가구)에 비해 155가구 늘어나는 등 세 달 만에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다.

지난 7월 횡성과 춘천에서 신규 아파트 입주가 진행된 데 따른 결과다. 횡성은 읍마지구 내 대우이안아파트 완공으로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이 66가구에서 222가구로 156가구나 증가했으며, 춘천은 거두지구 호반베르디움 아파트 입주로 미분양 물량 감소 속에서도 준공 후 미분양이 한 달 새 62가구 정도 늘어났다.

춘천 석사동의 한 부동산 중개업소 관계자는 “춘천지역은 춘천~서울 고속도로 개통 효과로 집값이 오름세로 돌아서자 미분양 주택 감소 속도가 한층 빨라진 양상”이라며 “최근 집값 오름세로 매도자들이 매물을 거둬들이면서 품귀현상을 빚자 외지인들이 미분양 주택으로 눈을 돌리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허남윤기자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