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10월말 용역결과 이후 최종확정 전망
제2의 첨복단지 우려 … 조기착공 시급 지적
【서울】정부가 원주~강릉 전철사업의 사업 형태 및 추진 방식에 대한 결정을 오는 10월 말께로 또 변경한 것으로 알려져 자칫 해당 사업이 제2의 원주 첨단의료복합단지가 되는 것이 아니냐는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다.
20일 국회 국토해양위 한나라당 간사를 맡고 있는 허천(춘천) 의원은 “정부측에 확인한 결과 원주~강릉 전철사업에 대한 최종 결정 시점은 오는 10월 말께 나올 한국교통연구원의 용역 결과 이후가 될 것”이라며 “기획재정부가 발주한 해당 용역 결과에 따라 복선 또는 단선, 국가재정사업 또는 민자방식 등에 대한 결정이 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원주~강릉 전철 사업 형태와 추진 방식에 대한 결정을 당초 지난 5월 말께 마무리 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6월 말, 7월 말, 8월 말 연기에 이어 또 다시 10월 말로 무려 5개월 이상이나 미루고 있다.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본보의 '단선 형태 추진 검토' 보도로 촉발된 지역 주민들의 강력한 반발 등에 따라 정부는 일단 '복선전철'로 사업 방향을 잡았다. 하지만 정부 일각에서 사업 추진 방식에 대해 민자 방식이 아닌 국가재정방식으로 추진하겠다는 의사를 굽히지 않고 있어 새로운 갈등의 불씨가 되고 있다.
지난 17일부터 1박 2일간 서울에 머물면서 국회와 기획재정부 및 국토해양부를 방문해 해당 사업의 '복선화 및 민자사업'을 요청한 최명희 강릉시장은 “복선전철 방식에 대한 당위성을 적극 설명해 정부 측의 긍정 답변을 받아냈지만, 추진 방식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다”며 “무엇보다도 계획된 기간 내에 복선전철을 완공하기 위해서는 민자방식으로 가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벌써 상당 기간이 지체된 해당 사업은 2018평창동계올림픽 유치를 위해서도 조기 착공와 완공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재정사업으로 시간이 지체된 경춘선의 재판이 될 공산이 크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허천 국회의원은 “관련 부처인 기재부와 국토부가 모두 복선에 대한 것은 인정하지만, 국토부는 민자를 선호하는 반면 기재부는 국가재정 방식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며 “부처 이기주의에서 벗어나 조기 착공 및 완공을 위한 정책적 판단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비판했다.
류병수기자dasan@kw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