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춘천】춘천지역의 개발과 기업유치의 걸림돌이 될 수질오염총량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흙탕물 저감대책이 우선 마련돼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강원대 김범철(환경과학과)교수는 22일 춘천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댐에 의한 수질영향 및 의암호 자체 오염생산량 연구 최종보고회'에서 이 같이 밝히고 “목표수질 달성도는 5년을 주기로 3년 평균 농도가 2회 연속 늘어날 경우 목표수질을 미달성한 것으로 평가되기 때문에 흙탕물은 수질총량관리의 직접적인 문제가 된다”고 밝혔다.
춘천시는 수질오염총량제 시행에 대비, 현저하게 오염원이 삭감되는 방안을 수립하고 수질예측모델링을 통한 과거·현재·미래의 상황을 종합평가하기 위해 김교수에게 연구용역을 의뢰했었다.
김교수는 이날 “수질관리를 위해 해당지역 오염물질을 삭감하려는 노력보다 댐 등에 의한 외적인 요인에 의한 영향이 더 크기 때문에 목표수질 설정은 의미가 없다”고 덧붙였다. 이어 “댐이 없으면 춘천지역 흙탕물은 연평균 24일 정도만 발생한다”며 “또 소양호의 고탁수에 함유된 인 성분이 의암호로 유입돼 식물성 플랑크톤 번성의 원인이 된다”고 분석했다.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소양강댐은 2004~2008년까지 5년간 연평균 112일간 흙탕물이 발생했고 춘천댐은 같은 기간 연평균 68일간 탁수가 발생했다.
김범철 교수는 이에 대한 대책으로 “총량제 시행과 관련된 정책적 연구를 수행하고 중앙정부와의 지속적 협의가 필요하다”며 “이와 함께 전문기관 육성 및 인력양성, 담당자의 적극적인 교육 참여, 오염원자료 관리시스템 정비 등 인프라 구축도 추진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하위윤기자 faw4939@kw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