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생수에서 발암물질이 검출돼 충격을 주고 있다. 환경부가 밝힌 사실이어서 심각성을 더한다. 안심했던 생수조차 믿을 수 없게 됐으니 답답하다.
환경부가 지난해 말 전국 157개(전체 296개)의 생수를 조사·분석한 결과 33개 제품에 브롬산염이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도내에서 제조한 17개 생수 조사에서는 8개 제품에서 ℃당 0.0006~0.0062㎎의 브롬산염이 나왔다고 한다. 브롬산염은 동물실험에서 신장, 갑상선, 중피종 등의 독성을 일으키는 등 발암성이 확인됐다.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나오지 않았지만 국제암연구소(IARC)에서는 이를 잠재적 발암물질로 분류하고 있다.
환경부는 브롬산염의 검출 농도가 국내·국제 수질기준인 0.01㎎/℃ 이내로 나와 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기준치 이상이 검출된 브랜드를 함구하고 있어 의혹을 부추기고 있다. 소비자들의 불안감을 키우는 처사다. 급기야 참여연대가 환경부 장관을 상대로 정보공개 거부처분 취소 청구소송을 냈고 서울고등법원이 지난 15일 “세계보건기구 수질기준을 초과한 브롬산염이 검출된 생수 생산업체 명단 등을 공개하라”고 판결했다. 문제가 된 제조업체와 제품명을 공개할 경우 명예훼손이 우려된다는 환경부에 전향적으로 판단하라는 것이다.
일상에서 생수 의존도가 날로 높아지고 있다. 생수 매출이 탄산음료를 제쳤다는 사실은 이미 옛말이다. 웰빙·로하스 바람을 타고 생수시장이 매년 10% 이상씩 성장, 올해 매출 규모가 2조 원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다. 외국산 생수 수입도 해마다 급증하는 추세다. 우리는 도내에서 생산된 제품에 브롬산염이 들어 있다는 점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런가 하면 올 상반기에 환경부와 도내 제조업체 수질기준을 점검한 결과에서도 2곳에서 기준치 이상의 세균 등이 검출됐다. '강원도=청정수' 이미지가 크게 훼손되고 있다. 국민의 건강, 생명이 걸려 있는 사안이다. 관계당국의 엄중한 조치를 촉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