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와 지역 정치권은 설악산 오색로프웨이 설치를 위해 적극적으로 공조해 나가야 한다. 민주통합당의 '국립공원 케이블카 중단 결의안'이 지난 26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전체회의를 통과해 비상이 걸렸기 때문이다. 설악산 오색로프웨이 설치는 도내 정가를 비롯, 설악권 주민들이 그동안 강력하게 주장해 온 지역의 해묵은 현안이다. 특히 민주통합당 도당은 지난 6월 27일 오색로프웨이 재선정을 정부에 촉구하고 나섰다. 즉, 오색로프웨이 설치는 지역경제 회생을 기대하는 주민의 열망이라고 했다.
새누리당 도당 역시 이날 오색로프웨이 설치는 설악권 재개발사업의 일환이고 지역 주민의 생존권이 달린 문제라며 성명까지 발표했다. 이런 지역 정치권의 정서에 반하는 국립공원 케이블카 중단 결의안은 지역경제 회생을 열망하는 설악권 주민들에게 허탈감을 주기 충분하다. 속초와 양양 고성 등 설악권 시·군은 전체 면적의 대부분이 국·공립공원구역, 군사시설보호구역, 백두대간 보호 등 중복규제에 묶여 있어 1980년대 이후 관광기반시설 확충이 사실상 중단됐다. 설악동의 경우 70%의 음식·숙박업소가 폐·휴업 상태다. 정치권은 설악권 주민의 어려움을 제대로 파악해야 한다. 자연환경 훼손을 이유로 오색로프웨이 설치를 중단한다면 이는 주민의 생존권을 흔드는 일이 되고 만다.
다음 달 말 국감이 끝난 뒤 법안 소위가 열리는 만큼 도와 도 출신 국회의원들은 한뜻으로 대처해야 한다. 법안 소위는 강원도와 양양군이 내놓은 로프웨이를 대청봉 정상에서 동쪽으로 1.2㎞가량 떨어진 곳에 설치하는 방안 등 환경파괴 방지책 및 환경보호 대책을 꼼꼼히 살펴야 한다. 정류장 대안지도 등산로와 연결돼 있지 않아 국립공원위원회가 지적한 '로프웨이 이용객의 무분별한 대청봉 등반' 항목을 충분히 보완할 수 있다.
케이블카 설치는 우리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온전하게 물려주어야 할 귀중한 자연 자원을 보전(保全)하는 것을 최우선 원칙으로 삼고, 그런 가운데 보다 많은 사람이 설악산을 유용하게 즐길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관점에서 논의해야 한다. 정류장 시설물도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시설하면 된다. 환경을 더 이상 훼손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은 오히려 지역 주민이 더 잘 알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