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전역에 폭설이 쏟아졌다. 진눈깨비가 더해져 고충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그나마 생활의 불편은 감수하고 이겨낼 수 있다지만 엄동설한으로 인한 피해가 걱정이다. 매년 반복되는 자연재해이고 보면 보다 근본적인 대응책이 요구되는 사안이다.
이번 겨울은 유난히 강추위가 이어지고 산간지역과 동해안 일대에는 많은 눈이 내릴 것이라는 예보였다. 이를 입증하려는 듯 혹한에 눈 폭탄이 거듭되고 있다. 곳곳에서 교통불편을 겪는 것은 예사다. 비닐하우스 등의 시설재배와 축산업, 겨울축제와 관광산업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이젠 대설주의보조차 그리 심각하게 느껴지지 않을 정도다. 물론 우리만 그런 게 아니다. 세계적인 기상이변의 영향이다. 매년 그 정도를 더하는 여름철 무더위를 떠올리면 날씨도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도와 일선 지자체에서는 해마다 치르는 일이어서 겨울을 앞두고 단단히 채비를 한다. 그러나 불가항력적인 자연재해가 빚어지기 일쑤다. 위험지구의 안전조치, 제설작업 시스템을 수시로 점검하고 즉시 대응한다. 당연히 재해대책본부를 가동하고 관련 공무원들은 비상근무에 돌입한다. 현장에서는 추위·허기와 사투를 벌이면서 장비를 동원해 막힌 도로를 뚫어 고립된 주민들을 구해낸다. 올해도 마찬가지다. 지난 16~17일 동해안 일대에 50㎝에 가까운 눈이 쌓여 큰 불편을 겪었다. 이것을 미처 치우지도 못했는데 또 많은 눈이 덮쳤다. 이런 지경에 눈이 얼마나 더 내릴지 가늠하기 힘든 상황이어서 불안감을 가중시킨다.
불과 2년 전 영동지역 일대에 폭설로 인해 강릉 삼척 등에 특별재난지역을 선포했던 악몽을 지우기 어렵다. 기후와 날씨의 변화 추세를 감안하면 재해의 강도가 거세지리라는 관측이다. 그런 만큼 대응책도 보다 근본적이고 세심하게 마련돼야 한다. 험준한 지형으로 인해 가뜩이나 낙후돼 할 일이 많은 지자체에서 수시로 발생하는 자연재해에 대처하는 노력과 비용이 벅찬 실정이다. 정부의 분명한 자연재해 대책이 필요하다. 차기 정부 조직개편안에서 행정안전부를 안전행정부로 변경하기로 했다. 그 진의를 실현하는 후속 조치가 확실하게 나와야 한다. '재난 1번지'라는 오명을 지울 수 있는 지원책 수립을 촉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