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

[춘천]쓰레기 대란? 춘천은 쓰레기로 돈 번다

런던협약 따라 해양투기 금지

시 2005년부터 철저히 대비

폐수 하수처리해 투기량 '0'

건조한 슬러지는 업체에 판매

연간 예산 10억 절감효과도

【춘천】서울시를 비롯한 지자체들이 폐수의 해양투기 금지에 따른 '쓰레기 대란' 우려로 발을 동동 구르고 있지만, 시로서는 '남의 일'이다.

해양투기 전면 금지를 앞두고 이미 2005년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시설, 2010년 하수슬러지 자원화 시설을 갖췄기 때문이다.

1993년 런던협약에 따라 음식물쓰레기에서 나온 폐수(음폐수)나 하수처리시설에서 나온 슬러지의 해양투기 금지는 이미 예견됐다. 이에 따라 시는 우선 2005년 말 근화동 하수처리장 인근에 국비 등 46억원을 들여 음식물자원화 시설을 준공했다.

박상근 시 청소행정과장은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나온 일명 음폐수는 인근의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연결돼 하수처리 과정을 거치게 된다”며 “톤당 비용을 주고 업체에 넘겨 육지나 해양투기를 할 필요가 없어졌다”고 했다. 또 시는 2010년까지 해양배출업체에 한해 10억원가량의 비용을 주고, 하수종말처리장에서 나온 슬러지 일명 오니를 처리했지만, 2011년부터는 오히려 돈을 벌고 있다.

2010년 말 신동면 혈동리 환경공원 내에 국비 등 115억원을 들여 하수슬러지 자원화 시설을 갖췄기 때문이다. 당초 하수종말처리장에 지을 계획이었지만, 쓰레기를 태우는 폐기물종합처리시설의 건설과 접목했다.

어차피 소각시설이 가동되면 쓰레기를 소각해야 하고, 여기에서 스팀 열이 나오는 만큼 이를 통해 하수슬러지를 건조시키겠다는 취지였다. 만약 하수처리장 부근에 세웠다면 별도의 운영비 등이 들어가야 했다.

시는 지난해 3,200톤의 슬러지를 건조, 이를 시멘트 회사의 원료 보조제로 매각해 4,000여만원을 벌어들였다. 올해는 입찰에서 가격이 톤당 1만5,000원으로 더 높아진 데다 생산량도 4,800톤으로 증가, 약 7,000여만원의 수익이 예상된다.

변승권 시 하수운영과장은 “위탁업체의 처리 비용 절감까지 포함하면 연간 약 10억여원의 예산 절감 효과가 있다”며 “환경변화를 예고하고, 선제적으로 시설 투자를 벌인 결과”라고 말했다.

류재일기자 cool@kwnews.co.kr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