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수조사 결과 62개 업체 중 위험요인 지적사항 없어
예방위한 지도·점검 규정 강화와 전문인력 양성 필요
전국 유독물 취급업체 10곳 중 4곳이 시설 미비와 노후화 등으로 각종 화학사고의 위험요인에 노출됐던 것으로 드러났다.
환경부가 3월19일부터 지난달 31일까지 전국 유독물 취급사업장 3,846곳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화학사고 위험요인이 발견된 사업장이 1,620곳으로 전체의 42%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유험요인이 발견된 1,620곳의 사업장에서만 6,892건의 지적사항이 발견됐다. 환경부는 전수조사 당시 2,247건의 지적사항은 현장에서 즉시 시정 조치하도록 하고 나머지 2,659건은 이달 중으로, 1,968건은 내년 중에 개선을 하라고 명령했다.
지역별로는 중소규모 화학물질 업체가 밀집한 경기도와 울산, 구미 등의 사업장이 대체로 관리가 부실했고 업종별로는 화학제품을 생산하는 업체보다 사용하는 업체가 화학 사고에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당수의 업체가 바닥 균열과 시설 부식 등 노후화가 심각해 시설 관련 항목이 잘 지켜지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미흡한 항목에는 방지턱 설치가 19.6%로 가장 높았고 소화기 등 개인보호장구 16.1%, 주기적인 안전점검 10.7%, 누출차단시설 10%가 뒤를 이었다.
이번 전수조사에서 다행히 도내 업체의 경우 단 한 건의 지적사항도 없었다. 하지만 최근 화학사고가 빈발하면서 일각에서는 '환경오염물질 배출시설 등에 관한 통합 지도·점검규정'을 강화하고 전문 인력을 양성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도내 유독물을 취급하는 업체는 모두 62곳으로 유독물질 누출이나 화재 발생에 대비한 자체방제계획을 수립해야 하는 업체는 5곳에 불과하다.
나머지 57개 업체의 경우 염화수소와 질산, 황산, 염산 등의 유독물을 제조 사용하는 양과 보관 저장하는 양이 적용범위를 넘지 않아 자체방제계획이 현재 없다. 더욱이 유독물 누출 등 각종 사고를 막기 위해 점검에 나서는 인력은 각 자치단체의 담당 공무원으로 전문적인 지도와 점검이 아닌 형식적인 서류 작성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도 계속돼 왔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전수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이달 말까지 '화학물질 안전관리 종합대책'을 마련, 미비한 규정을 개선하고 보완해 나가기로 했다.
박진호기자 knu10@kw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