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13년째 가동 중단 도암댐, 정부가 해법 제시를

'죽음의 댐'으로 전락한 도암댐 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벌써 13년째 가동 중단 상태다. 그간 수차례 수질정화 시도가 있었으나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최근 한수원이 26억 원을 들여 정화시설을 설치했지만 역시 목표 수질인 2급수를 충족시키는 데는 실패했다. 발전 방류는 못 하고 매년 엄청난 운영유지비만 쏟아붓고 있다. 발전 중단 후 현재까지 지출된 운영유지비가 무려 1,180억 원에 달한다. 애물단지로 전락한 도암댐이 돈만 먹고 있는 셈이다. 그렇다고 앞으로 이렇다 할 대책이 보이는 것도 아니다.

강릉시의회에서 얼마 전 이 사안이 논의됐다. 도암댐은 오·탁수 문제 해결이 급선무라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 한수원을 비롯해 농림축산식품부, 환경부 등 관련부처와 전문가들이 함께 해법을 모색해야 한다는 지적이 또 제기됐다. 그동안 이러한 지적은 수없이 많이 나왔으나 지금까지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2018평창동계올림픽을 환경 올림픽으로 치르기 위해서도 수질 개선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일이다. 오·탁수로 인해 생존권마저 위협받는 주민들의 분노를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된다.

도암댐 사태는 건설 당시부터 예견됐다. 상류 축산단지와 고랭지단지, 골프장 등에서 끊임없이 오염물질이 흘러 들어오는데도 한수원은 이 사실을 간과한 채 공사를 강행했다. 횡계에서 도암댐에 이르는 구간은 희뿌연 흙탕물로 뒤덮이기 일쑤다. 수시로 녹조현상이 발생해 악취가 진동한다. 그런데도 댐 건설을 밀어붙였다. 결국 수질오염이 심화되고 주민의 반발로 2001년부터 발전이 전면 중단됐다. 홍수 조절이나 수자원 확보의 역할을 제대로 하는 것도 아니다. 이젠 환경파괴의 주범이 됐을 뿐이다.

당국은 주민의 입장을 우선 헤아려야 한다. 생존권이 달린 사안이다. 2005년 총리실 산하 국무조정실이 나섰던 적이 있다. 저장된 물이 2급수가 될 경우 발전을 하도록 결론 내렸다. 수질 문제를 해결하라는 권고였다. 원인 제공자인 한수원이 오·탁수 정화에 성의를 보여야 한다. 수질 개선이 늦어지면 댐 하류의 피해는 그만큼 커진다. 남대천과 동강의 생태계가 망가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 지 오래다. 정부가 나설 것을 당부하게 된다. 그렇지 않으면 예산과 인적자원 등 국가적으로 손실만 가중된다.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