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웰빙라이프]이 봄, 방심하다 큰 코 다칠라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황사·미세먼지·꽃가루 때문에

알레르기성 비염 더 심해져

이때 콧물 들이마시면 안 좋아

세게 풀지 말고 한쪽씩 살살

자칫 급성중이염 일으킬 수도

집먼지진드기 제거 등 위생 중요

우리가 코를 통해 하루 동안 들이마시는 공기량은 1만~2만ℓ 정도다.

1분에 500㎖ 생수병 14~28개 분량의 공기를 들이마시는 셈이다. 코 표면은 필터 역할을 하는 점액으로 덮여 있어 외부에서 들어오는 이물질이 몸속으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막는다.

또 점막에 모인 모세혈관을 통해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코를 통해 들어온 공기의 온도는 코에서 목으로 넘어가는 짧은 시간 동안 30~32도로 오르고 후두나 기관에 이르면 정상 체온인 36.5도에 가까워진다. 영하 40도 아래로 떨어진 추운 지방에서도 사람이 얼어 죽지 않고 살 수 있는 것은 코의 온도 조절능력 때문이다.

아무리 건조한 공기라도 코 안을 통과하면 습도가 75~85%로 조절돼 폐에 공급된다. 이처럼 다양하고 중요한 역할을 하는 코는 봄이 되면 괴롭다. 한국건강관리협회 도지부의 자문을 통해 봄철 가장 중요한 코 건강관리법을 살펴보자.

■코 건강은 철저한 개인위생이 가장 중요

코는 항상 외부에 노출돼 있어 먼지를 비롯해 온갖 유해물질에 시달리게 된다. 특히 봄에는 미세먼지나 꽃가루 때문에 알레르기성 비염이 더 심해진다. 알레르기성 비염은 정확히 검사하고 진단에 따라 치료를 받아야 한다.

알레르기성 비염은 집먼지진드기를 비롯해 황사, 꽃가루 등의 이물질이 코 점막을 자극해 발생한다. 환절기나 봄에 지속적으로 재채기를 하고 맑은 콧물이 흐르며 코가 막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침구류, 카펫 등을 깨끗이 청소해 집먼지진드기를 제거하고 황사나 꽃가루가 가장 많이 날리는 시간인 오전 5~10시 사이에는 되도록 외출을 삼가는 것이 좋다.

가장 중요한 것은 개인위생이다. 외출 후에는 손과 발, 코와 입속을 깨끗이 씻도록 한다. 평소 생리식염수로 코를 세척하는 것도 코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흐르는 콧물은 뱉어내고 풀 때는 한쪽씩 살살

생활 속의 작은 습관도 코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 우선 코는 실내 습도가 50~60%일 때 가장 편안함을 느끼므로 가습기 등을 이용해 적정 습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단 너무 습하면 알레르기성 비염을 오히려 악화시킬 수 있다.

실내온도는 20~25도가 적당하고 물을 많이 마시는 것도 도움이 된다.

감기나 알레르기성 비염으로 콧물이 흐르면 습관적으로 훌쩍거리다 들이마시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는 콧물을 들이마시지 않는 것이 좋다. 자칫 미세먼지 등을 함께 들이마실 수 있기 때문에 의식적으로 코를 뱉어내는 습관이 필요하다. 또 콧물이 흐르거나 코가 막혔을 때에는 코를 세게 푸는 것보다 젖은 수건, 물티슈 등으로 살짝 닦아내는 것이 좋고, 코를 풀 때는 한쪽씩 살살 푸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가 막히면 답답한 마음에 코를 세게 풀기 쉬운데, 이렇게 코를 세게 풀 때에는 콧속에 생기는 압력이 이완기 혈압 정도에 해당하는 80㎜Hg에 달한다. 이 압력으로 인해 고막이 파열될 수 있으며 콧물이 이관을 통해 귀로 넘어가 급성중이염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코를 풀 때는 양쪽 코를 한 번에 풀지 말고 한쪽 코를 막고 다른 쪽 코를 2~3번으로 나눠 살살 푸는 것이 좋다.

최기영기자 answer07@kwnews.co.kr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