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사IC 인근 숲 50% 포함
장평~간평 국도 확장 결정
7억 추가 대체 숲 조성 계획
국토교통부가 국비 21억원을 들여 영동고속도로 속사IC 부근에 조성한 생태숲을 3년 만에 도로 건설을 위해 훼손키로 하면서 환경훼손과 예산 낭비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 김경협 국회의원이 공개한 환경부의 지난 4월10일자 공문에 따르면 한국도로공사는 2009년 10월 '폐도 복원을 통한 생태숲 조성' 사업비 21억원을 환경부에서 받아 집행했다.
이 공문은 원주지방국토관리청이 '국도 6호선 확장공사'를 시행하며 생태숲 부지를 편입한 것과 관련, 이를 조정하고자 보낸 문서다.
환경부는 공문에서 “국도 6호선 확장공사 부지에서 반환사업 시행지역을 제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예산 낭비 또는 중복투자의 지적이 제기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해당 생태숲 부지는 평창군 영동고속도로 속사IC 부근 2㎞ 구간으로 현재 이 부지에는 4만㎡ 규모의 숲이 조성돼 있다. 생태숲은 나무 3만6,000그루와 초화류 11만3,000본이 심어져 있고 생태습지 3곳, 자연수로 1.5㎞가 설치돼 있다.
하지만 불과 3년이 지난 2012년 원주국토청은 생태숲의 50%가량을 훼손해 장평~간평 간 국도 6호선을 확장하는 도로설계를 확정했다. 현재 원주국토청과 도로공사는 설계는 그대로 유지하고, 7억원의 예산을 추가로 들여 대체숲을 조성하겠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환경부 측은 원천적으로 이에 반대하는 입장이며, 원주국토청이 제시한 6개 소규모 부지에 대체 숲 분산 조성안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김 의원은 “4만㎡의 생태숲은 조성 비용뿐 아니라 환경·경제적 가치, 주민 삶의 질 가치까지 고려하면 효과가 엄청난 것”이라며 “도로를 내기 위해 파헤친다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 공공기관의 근시안적 정책과 정부의 개발 우선주의로 아까운 숲과 혈세를 날리는 꼴”이라고 비판했다.
서울=홍현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