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접경지 협력 광역벨트 조성, 시너지 창출 기대한다

'2019 접경지역 발전 포럼'을 개최한 의지

산업·관광·농업·생태·교육 등의 규모화 절실

통일시대를 여는 지역의 기반 구축은 상식

도내 접경지역 5개 군 지자체가 공동 브랜드 조성을 위한 광역벨트 구성에 나선다는 의지다. 국방개혁 2.0에 공동 대응하는 것은 물론이다. 지역마다 공히 겪고 있는 동병상련 타개책으로 산업·관광·농업·생태·교육 등의 분야에서 두루 협력해 경쟁력을 더하자는 취지다. '2019 접경지역 발전 포럼'을 통해 제안·결의된 방안이다. 지자체 간의 상호협력 필요성은 늘 공감돼 온 사안이었으나 보다 실제적인 '광역벨트'라는 개념의 견실한 체계·시스템화를 지향해 나가자는 결의여서 주목하게 된다.

2018평창동계올림픽을 계기로 남북관계가 협력 분위기로 전환, 접경지역도 훈풍이 돌았었다. 그러나 남북관계를 둘러싼 최근의 정황은 그리 밝지 않다. 또다시 실망감에 젖어들게 한다. 도가 접경지역을 '평화지역'으로 명명했으나 현실은 여전히 암담하다. 여기에 직격타를 입힌 것이 지역의 대안이 보이지 않는 국방개혁 2.0이다. 주민들이 '생존권'을 호소할 정도로 심각한 불안감이다. 강원일보사와 강원도, 철원·화천·양구·인제·고성군이 함께 올해 처음 양구지역에서 '접경지역 발전 포럼'을 개최한 이유다. 여기에 도 발전·성장의 싱크탱크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강원연구원 또한 동참했다. 보다 넓은 시각으로 심도 있는 지혜를 모색해야 하기 때문이다.

지난 19일에 열린 포럼의 대주제는 '한반도 평화와 접경지역 발전, 어떻게 할 것인가'였다. 이에 따른 소주제로 한 발표와 관련 전문가들이 토론을 펼쳤다. 더 주목하게 한 것은 육동한 강원연구원장이 좌장을 맡아 진행한 특별좌담에 접경지 군수·부군수·군의장 등이 참여해 지역의 간절한 의지를 재확인 했다는 점이다. 더구나 “접경지역 5개 군에서 공통분모를 뽑아 농업·산업 등 분야별로 한 곳씩의 지자체가 주도적으로 지도해 나가면 규모화가 이뤄지고 경쟁력이 생겨날 것”이라는 실제적 방안이 제시됐다. “접경지역이 가지고 있는 청정성, 깨끗한 이미지를 활용한 공동 브랜드 조성도 가능하다”는 제안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통일을 지향해 나가는 점에서 접경지역의 비전은 여실하다. 문제는 현실이다. 통일을 향한 의지를 더하는 지역의 자생기반 구축은 기본이다. 접경지역지원특별법, 접경지역 종합발전계획 등이 제시돼 있지만 지역사회·주민의 피부에 와닿지 않는 탓이다. 5개 자치단체가 참여하는 접경지역 상생협의체 구성을 위한 실무협의회에 보다 실질적인 역할을 주문하는 것도 그래서다. 국방부와 강원도, 5개 군이 참여하는 상생발전 협약이 논의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에 기대는 것은 단견이다. 접경지역의 문제는 국방부를 넘어 정부의 모든 부처가 관계되는 일이어서다. 정부의 역할을 지역에서 분명하게 요구해야 한다. 지역 특성과 현실에 초점이 맞춰져야 하기 때문이다. 그 토대 위에 세계인이 직접 발걸음하는 것이 궁극적인 지향 방향이라는 점에서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 & 피플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