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4차 산업혁명 대비, 강원도 경제 체질 개선해야

“열악한 제조업, 취약한 재정, 자금 역외유출 등

강원도 경제환경 극복할 발상의 전환을”

인공지능 적용 범위를 정하는 것도 중요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해 강원도 경제의 체질을 개선해 나가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돼 주목을 끌고 있다. 지난 21일 한림대 국제회의실에서 강원일보사와 강원도, 강원연구원, 심기준 국회의원이 공동 개최한 '4차 산업혁명 대비, 강원미래전략포럼'에서 정체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강원경제의 틀을 바꿔 나가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된 것이다. 시대흐름을 수용할 큰 그릇을 만들어야 한다는 인식이다. 4차 산업혁명은 불과 1년 전만 해도 생소했다. 그러나 이제는 정부의 정책을 얘기할 때 빠지지 않는 용어가 됐다.

개념 정의에 대해 다양한 주장이 제기되고 있지만 대체적으로 4차산업혁명은 '인간·만물·가상공간이 디지털로 상호 연결된 상황에서 스스로 현상을 인지·분석하고 대응하는 디지털 시스템이 초래하는 포괄적인 변화'로 정의된다. 강원도 경제가 여기에 순응해 나갈 때 경쟁력을 가진다. 선진국은 4차 산업혁명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지만 각자의 강점을 바탕으로 발 빠르게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미국은 인공지능을 시작으로 모든 영역에서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 독일은 제조업의 강점을 바탕으로 공장을 스마트화하고, 일본은 로봇을 중심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리드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 속에 강원경제의 주요 이슈는 21세기가 돼도 거의 변한 것이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자금의 역외 유출문제, 대형 유통업체의 진출에 따른 지역 영세업자들의 어려움, 중소기업들이 겪는 인력난, 수도권 상수원 보호를 위한 강요된 희생, 제조업 비중이 낮은 취약한 산업구조, 지방정부의 취약한 재정 등은 단골 메뉴다. 이 같은 문제 제기는 정부 주도 발전전략에서 소외된 결과라는 원인 분석과 함께 강원도 푸대접론으로 연결되곤 했다. 그리고 해결책으로는 강원도 천혜의 관광자원에 모든 기대를 거는 관광산업 발전론으로 끝나는 것이다. 강원도 경제의 틀을 바꿔 나가자고 할 때면 제법 환경이다 문화다 복지다 하면서 미래의 비전을 제시하면서도 경제 현실로 돌아오면 십수년을 되풀이해 온 한탄뿐 이라면 문제가 있다.

이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경제문제에서도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물론 강원도가 관광산업에 기대를 갖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강원도가 비교우위를 갖는 산업을 특화해 생산한 재화나 서비스를 수출해야 한다는 생각은 지극히 당연하다. 또 관광산업에 강원도가 비교우위를 갖는다는 생각도 자연스럽다. 다만 위락을 염두에 둔 관광만으로는 곤란하다는 점이다. 강원도가 얻는 것이 너무 적다. 관광산업에 강원도의 미래를 걸어보겠다면, 부가가치가 높은 국제회의, 국제전시 및 사계절 국제관광으로 발전해야 한다. 여기에는 많은 투자와 전문인력을 필요로 한다. 이에 대한 고민이 있어야 한다. 인공지능을 어떻게 적용해 나가야 할 것인지 그 범위를 정해 나가는 것도 중요하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 & 피플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