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의 내년도 본예산안(당초) 규모가 올해보다 늘어난 것은 올림픽 관련 SOC 확충에 따른 지방세입 및 내국세 증가에 의한 정부의 보통교부세 증가가 요인이다. 이에 따라 올림픽 이후 압박받을 것으로 우려됐던 재정에 다소나마 숨통이 트였다.
내년도 예산안 편성 기조인 '올림픽 성공 개최와 올림픽 이후 미래 신전략사업 발굴 및 투자 강화'에 맞춰 올림픽 국내외 홍보 90억원, 관중 방한용품 지원 20억원 등 450억원이 반영됐다.
또 올림픽 레거시 활용 신관광 등 233억원, 기후변화 연계 과수 산업 등에 47억원, 수소와 전기자동차 등 신산업 257억원, 강원도형 산촌도시 등 신산림 분야에 21억원 등 신미래전략사업 4개 분야에 558억원을 투자한다.
내년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사업주 경영악화 예방 등 강원도형 사회보험료 지원에 422억원, 일자리 창출에 1,219억원을 반영했다. 도는 부채 감축 등 재정 효율화에도 집중한다. 동계올림픽 준비로 증가한 부채 감축을 위해 지방채를 발행하지 않고, 증가한 지방세를 활용해 부채를 상환한다. 2022년 채무 제로화 달성이 목표다.
또 복지사업 증가 등에 따른 시·군의 재정 부담을 고려, 복지 분야 법정 부담금 도비 보조 비율 개선에 363억원을 증액 편성해 지원한다.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체감복지 실현에는 1조3,285억원, 무역 및 수출 확대 분야에 644억원, 경제기반 구축에 4,522억원, 강원 문화·관광·체육 명품화·세계화에 1,918억원을 편성했다. 농업 육성 분야에 7,243억원, 안전 분야에 2,348억원 등을 투자한다.
이규호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