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치료가능 사망률 가장 높은 강원도, 인구 늘겠나

10만명당 39.4명, 심각한 ‘건강 불평등''
의료 인프라 낙후성, 환자들 수도권 유출
의료 공공기관 확대와 책임성 강화해야

수십년 동안 모든 것이 바뀌었지만 강원도의 의료 환경은 여전히 척박하다. 도의 의료 인프라가 열악하다는 사실이 새삼 확인됐다. 도가 의료 인프라 부족과 민간 병원 중심의 ‘의료 시장’으로 인해 ‘치료가능 사망률’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드러났기 때문이다. 치료가능 사망률은 병원에서 적기에 치료를 받지 못해 사망한 사람들의 비율을 말한다. 임준 서울시립대 교수가 9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이달의 초점’에 게재한 논문에서 ‘치료가능 사망률’을 비교한 결과 강원도는 전국에서 가장 높은 인구 10만명당 39.4명을 기록했다. 두 번째로는 전남이 38.8명으로 나타나는 등 심각한 ‘건강 불평등’이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임 교수는 도 인구를 150만명으로 가정한다면 도내에서 연간 132명의 추가 사망이 발생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반면 서울의 치료가능 사망률은 30.6명으로 전국에서 제일 낮았다. 영월·평창·정선군은 전국에서 가장 건강 수준이 나쁜 지역으로 분석됐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의료격차 해소의 시급성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다. 도내 의료 인프라의 낙후성으로 인해 환자가 수도권으로 빠져나가고, 관내 입·내원 저조로 수천억원이 역외로 유출되고 있는 것도 문제다. 여기에다 거의 모든 환자가 수도권으로 가는 현실은 역내 의료기관의 의료 수준을 믿을 수 없다는 인식이 깔려 있는 셈이다. 이런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서는 지역 간 의료시설의 양극화 현상은 극복될 수 없다. 건강상 위급한 상황에 처했을 때 긴급한 구호와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어야 하는 것은 인간의 기장 기본적인 권리에 속한다. 이번 임 교수의 논문을 통해 드러난 강원도의 취약한 의료 환경은 다른 어떤 현안보다도 우선순위에 둬 해결해야 할 중대 사안이다. 당연히 개선해야 할 사항이 있으면 조치를 해 나가야 한다. 도내 의료 환경이 다른 지역에 비해 취약하다는 사실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이런 환경 속에서는 강원도의 인구가 늘 수 없다.

치료가 가능한 사람들이 죽어 가는 현실이라면 복지와 분배, 지역 균형발전은 허울에 불과할 뿐이다. 물론 지역 병원들이 충분한 진료를 할 수 있는 시설과 인력을 구비하지 못하는 사정을 모르는 바가 아니다. 시스템을 갖추는 데 무작정 투자를 강요할 수도 없다. 그러나 생활여건이 복잡하고 광범위해져 긴박하고 위중한 상황이 언제 어디서 닥칠지 모르는 일이다. 인구의 수도권 집중과 농어촌의 공동화를 막기 위해서도 특단의 보완책을 서둘러야 한다. 치료를 제때 못 받아 억울하게 숨지는 일이 생겨서는 곤란하다. 특히 강원도는 면적이 넓어 의료 공공기관의 확대와 책임성을 더욱 강화해 나가야 할 때다. 의료원과 시·군 보건소의 숙련된 의료진 확보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다. 보건소의 공공의료는 취약계층에겐 건강은 물론 생명과도 직결되는 긴요한 문제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 & 피플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