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어음 부도율·대출 연체율 급증, 지역경제 문제없나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장기 불황으로 도내 기업들의 어음 부도율이 1년 사이 10배가량 치솟았다. 벼랑 끝으로 내몰린 기업들이 돈을 제때 상환하지 못하는 대출 연체율 또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도내 어음 부도율은 0.21%로 집계됐다. 2022년 0.02%였던 어음 부도율이 1년 만에 10배 넘게 많아졌다. 이는 2014년 5.41% 이후 9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어음 부도율은 2019년부터 2022년까지 0.02~0.05% 수준을 보이다 지난해 가파르게 올랐다. 예금은행 기준 도내 기업대출 연체율도 지난해 0.24%로 나타나 관련 통계 집계를 시작한 이후 최고치였다. 2020년 0.14%, 2021년 0.13%에서 껑충 뛰었다. 은행들의 기업대출 건전성이 심상치 않다는 의미다. 아예 문을 닫는 회사도 속출했다. 도내 법원이 접수한 법인 파산 사건은 지난해 연간 7건으로 2022년 1건 발생했던 것에 비해 크게 늘었다.

당장 도내 건설사와 부동산 관련 기업만 봐도 상황이 예사롭지 않다. 아파트 미분양 물량 급증으로 지방 건설사들의 유동성 위기가 심화되며 도내 부동산 기업의 금융기관 대출 연체액도 30% 가까이 증가했다. 하지만 자금난 등 위기를 벗어나기 위해 금융권을 찾은 건설업체는 더 많아지고 있다. 2023년 말 기준 도내 건설업종 대출 잔액은 6조500억원으로 2021년 말(4조7,500억원)보다 1조3,000억원이나 불어났다. 상황이 이렇다면 가계대출보다 기업대출이 훨씬 심각하다는 얘기다. 경기 침체와 고금리로 이자도 못 내고 무너지는 기업이 줄을 잇는 만큼 가계대출 못지않게 기업대출에 신경을 써야 한다는 지적과 경고가 이어질 수밖에 없다.

기업의 입장에선 뭐 하나 신바람 나는 게 없다. 고금리에 경기 부진, 원금과 이자 부담, 파산과 부도 등 암울한 통계투성이다. 특히 중소기업의 자금 조달은 갈수록 힘들어지고 있다. 금융권이 대출을 계속 풀기도 여의치 않고 정부도 마땅한 대책이 없다. 이대로 끌고 갈 수도 없고 야박하게 내치기도 어렵다. 그럼에도 어떤 형태로든 옥석을 가릴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는 사실을 절박하게 인식해야 할 시점이라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하지만 도내 중소기업이 무너지면 지역경제도 휘청거린다. 중소기업은 대기업보다 경기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 따라서 죽어가는 중소기업을 살리려면 가라앉은 경기를 진작하고 성장 잠재력을 높이는 것이 급선무다. 이와 함께 중소제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유도하고 이들의 자금 조달을 돕는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 & 피플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