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일반

“여전히 인물 보고 투표해요”…장애인 유권자 지원책 시급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나는 장애인 유권자다] (3·完) ‘참정권’ 보장 받는 세상을 꿈꾼다
도 내 장애인 중 선거 가능 연령대 9만8,154명…장애인 유권자 전체 6%
도선거관리위원회, 장애인 유권자 참정권 보장 약속

◇강원일보DB

“여전히 인물 보고 투표하죠. 하지만 누가 누군지 제대로 알기 어려운 게 현실이에요”

장애인 유권자가 자신의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기 위해서는 선거 출마자, 선거관리위원회의 역할이 모두 강조된다.

‘강원특별자치도 연령별 등록 장애인 현황(2023년 12월 기준)’에 따르면 선거 가능 연령대에 속하는 장애인 수는 모두 9만8,154명에 이른다. 가장 최근에 실시된 제20대 대통령선거 당시 강원도 선거인수 153만8,846명을 기준으로 계산하면 장애인 유권자는 전체 6%로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숫자다.

하지만 점자 명함이 아닌 이상 시각장애인은 자신이 만난 후보자의 이름을 기억하지 못하고, 점자를 모르는 시각 장애인의 경우 정부에서 강제하는 점자 공보물을 읽을 수도 없다. 어린 나이에 소리를 잃은 청각 장애인의 경우 한글을 배우거나 직접 소리 내어 말한 경험이 적어 한글을 읽기조차 어려워 한다. 강원특별자치도농아인협회 도수어통역센터운영본부는 한글보다 수어를 먼저 배운 이들을 위해 지속적으로 선거 공보물에 수어 정보 큐알코드를 제공해 달라고 중앙선관위에 요청하고 있으나 여전히 시행되지 않고 있다.

몸이 불편한 지체 장애인은 선거를 하러 가는 길 자체가 곤욕이다. 휠체어가 올라가기 어려운 높은 경사로 때문이다. 장루장애를 가진 이순임(68·춘천)씨는 “지난 20대 대통령선거를 치른 당시에 투표소에 휠체어가 준비 돼 있지 않아서 어려움을 겪는 사람을 봤다”며 “설사 휠체어를 타고 왔어도 언덕 탓에 잘 올라가지 못하더라. 전동 휠체어는 상관 없지만, 혹시 모를 분들을 위해서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벨 같은 게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지난 7일 강원자치도사회복지회관에서 열린 장애인유권자 참정권 보장 업무협의회에서 참석자들이 지체·뇌병변·척수장애인 등을 위한 특수형 기표용구를 사용하고 있다. 이 용구는 근력이 약하거나 손떨림이 있는 유권자들이 사표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제작됐다. 신세희기자

이에 중앙선관위는 장애인 유권자 참정권 보장을 위해 제22대 총선부터 일반형 기표용구 사용이 어려운 유권자를 위해 사용편의성을 개선한 특수형 기표용구를 투표소에 비치 했다. 또 ‘이해하기 쉬운 선거 공보 가이드’를 제작했다. 하지만 강원자치도 내 이를 알고 있는 선거 후보자(본보 지난 5일자 22면)는 지난 1일 기준 23곳 가운데 단 3곳에 불과했다. 선거 공보 가이드 지침을 따르는 것이 의무사항이 아니라 강제성을 띄지 않는다는 것이 이유였다.

신승수 도선거관리위원회 선거과장은 “장애인 유권자가 선거권 행사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것은 선관위의 목표이자 책무”라며 “과거보다 많이 개선됐지만 선거 운동은 기본적으로 후보자 선택 사항이라 강제하기가 어렵다. 하지만 후보자들에게 장애인 유권자의 참정권 보장을 위해 노력할 것을 계속해서 권고하고 있다”고 밝혔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 & 피플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