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22대 총선, ‘선거구획정’부터 ‘공식선거운동’까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D-41 선거구 획정…D-29 후보 대진표 완성
선관위 고발 접수 등 후보자들 간 신경전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일인 10일 춘천 봄내초에 마련된 석사동제6투표소 앞에서 이른 아침부터 유권자들의 투표 행렬이 이어졌다. 신세희기자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지난 총선에서 도입된 준연동형 비례대표제가 유지됐다. 국회의원 선거구 지각획정도 여전했다. 국회의원 지역구를 선거일 1년 전까지 획정한다는 공직선거법 조항은 유명무실했다. 이번 선거도 ‘번갯불에 콩 볶아 먹듯’ 치러졌다. 4·10 총선 투표일까지 다사다난했던 시간을 정리한다.

■D-41 선거구 획정=강원특별자치도는 1996년 15대부터 2024년 4·10총선까지 28년간 선거구가 다섯 번 재조정 됐지만, 이번 총선에서는 지난 21대 선거구 그대로 8개 선거구가 유지됐다. 특히 인구 상한선을 초과하면서 단독 분구에 대한 기대감이 높았던 춘천시의 경우 지난 총선에서 지역 일부를 타 지역에 떼어주며 갑·을로 분리됐던 기형적 선거구를 이번에도 이어가게 됐다. 당초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선거구획정위원회는 지난해 말 선거구획정안에서 춘천의 단독 분구안을 제시했다. 하지만 현행 속초-인제-고성-양양 선거구 가운데 양양을 강릉에 붙이고, 속초와 접경지역을 하나로 묶어 속초-철원-화천-양구-인제-고성 선거구를 담은 획정안을 함께 제시하면서 지역사회의 거센 반발을 샀다. 이후 타 지역 시·도 지역구 의석수를 두고 여야가 정치적 유불리를 따지면서 강원지역 ‘공룡 선거구’ 현실화 우려가 고조됐으나 결국 여야는 현행 유지에 합의했다.

■D-29 후보 대진표 완성=현행 공직선거법상 획정안의 국회 제출시한은 선거일 1년 전인 지난해 4월10일이었지만 악습은 이번에도 반복됐다. 지각 획정의 피해는 후보들은 물론, 도민들이 떠안았다. 후보자들은 자신이 출마할 지역구가 어디인지 불확실한 상태에서 선거운동을 벌였고, 상당수 유권자들도 후보를 검증할 시간을 제대로 가질 수 없었다.

선거의 ‘운동장’ 격인 지역구 획정이 선거일을 불과 41일 앞두고 완성되자 여야는 부랴부랴 선수 대진표를 완성시키기 시작했다. 선거를 29일 앞둔 지난달 12일에서야 비로소 대진표가 완성됐다. 일찌감치 출사표를 던지고 선거운동을 하던 예비후보 중 일부는 공천 결과에 이의제기를 하거나 탈당하기도 했지만, 이들 중 끝까지 선거를 완주한 경우는 없었다. 총선 주자 규모가 4년 전에 비해 크게 줄어든데다가 인위적인 '현역 물갈이'가 없었던 것이 강원지역에서 비교적 공천 후폭풍이 잠잠했던 이유로 풀이된다.

■고소·고발 잇따라= 공식선거운동 종료를 앞둔 여야 및 무소속 후보들은 승부처가 되는 지역에서 집중유세를 하고, 성명·고발전 등 막판까지 치열한 싸움을 벌였다. 강원특별자치도선거관리위원회에서 접수한 총선 관련 고발 건수는 10일까지 16건이다. 지난 총선에는 14건이었다. 선거 막바지로 치닫자 후보들 간 신경전이 거세지면서 고발전이 심화됐다. 강릉, 속초-인제-고성-양양 등에서는 서로 다른 이유로 상대 후보를 맞고발하기도 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 & 피플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