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악취에 벌레 들끓어”…관리 사각지대 저장강박 가구

‘쓰레기집’ 인근 주민들 악취·해충 피해 호소
저장강박 가구 지원책 없고 현황 파악도 불가
전문가 “일회성 청소 아닌 근본 대책 필요”

◇20일 찾은 춘천의 한 저장강박 가구. 대문과 건물 계단에 쓰레기가 가득 쌓여있다. 사진=김오미 기자

집안에 쓰레기를 쌓아놓고 방치하는 저장강박 가구가 관리 사각지대에 놓였다. 비위생적인 환경에 인근 주민들이 고통을 호소하고 있지만, 대책 마련은 물론 현황 조차 제대로 파악되지 않고 있다.

20일 찾은 춘천 약사명동의 한 가정집. 대문 밖에서 보기에도 집안 가득 쓰레기가 쌓여 있었다. 각종 생활용품과 망가진 가전제품 등 쓰레기들이 발 디딜 틈 없이 가득 찼다.

인근에 살고있는 김모(62)씨는 “몇년째 쓰레기가 방치돼 여름이면 악취가 진동하고 벌레가 들끓는다”며 “종이 쓰레기가 많아 불이라도 나면 어떡하나 싶다”고 말했다.

또다른 이웃주민 최모(35)씨 역시 “주변에 학교가 있어 아이들도 많이 지나다니는데 마구잡이로 쌓아둔 쓰레기가 떨어질까 늘 불안하다”고 말했다.

저장강박은 사용여부와 관계 없이 물건을 계속 저장하고 그렇게 하지 않으면 불쾌감을 느끼는 행동 장애를 말한다. 악취와 해충에 인근 주민들의 민원이 끊이지 않고 있지만 지자체 역시 손 쓸 방법이 없는 상황이다.

쓰레기가 인근 주택이나 도로로 넘어가면 ‘청결유지명령’을 내려 치울 수 있지만, 사유재산인 집 안에 있는 쓰레기는 지자체가 임의로 치울 수 없기 때문이다. 인근 행정복지센터 관계자는 “민원이 들어올 때마다 직원들이 현장에 나가 집주인을 설득해보지만 쓰레기 치우는 걸 완강히 거부해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더욱이 저장강박 가구를 관리할 기관 및 부서 역시 명확하지 않아 현황파악 조차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전문가들은 저장 강박 가구 전수조사 및 지원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강윤경 강원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저장강박은 정서적 고통을 회피하는 과정에서 주로 발생하는데, 일회성 대책으로는 해결이 어렵다”며 “주무부서를 신설해 위험군을 파악히고 상담‧치료를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피플 & 피플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