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부지 활용한 상권보호 대책 세워라”
육군 제1군수지원사령부의 이전이 본격화 되며 우산동의 공동화 현상 해결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지역주민들은 군지사 이전이 장기적으로 우산동의 공동화 해결에는 도움이 되겠지만 고속버스및 시외버스 터미널 이전에 따른 지역 상권붕괴 해결을 위한 단기대책도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 우산동 공동화
우산동은 원주시내 중심가와는 떨어져 있지만 시외버스와 고속버스터미널 그리고 상지대및 상지영서대 등 대학가의 영향에 힘입어 1980~1990년대 원주시내에 못지 않은 자체 상권을 형성하며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었다.
원주시 인구가 25만여명에 불과하던 지난 95년 4,835세대 1만5,365명이 거주하는 등 도심 못지 않은 인구 밀집지역 이었다. 그러나 상지대가 통학버스 운행을 늘리고 2003년 1월 고속버스터미널이 현재의 단계동으로 옮겨가며 우산동 상권은 본격적인 침체기에 접어들었다. 상권침체는 곧바로 인구감소로 이어져 2006년말 현재 4,750세대 1만1,535명까지 줄어들었다.
원주시 인구가 해마다 꾸준히 증가하며 30만명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지만 우산동은 오히려 3,830명이나 감소했다. 여기에다 시외버스 터미널 역시 오는 7월 신축공사가 한창인 단계동으로 이전할 예정이어서 우산동의 상권침체및 공동화 현상은 당분간 더욱 가속화 될 전망이다.
■ 1군지사 이전 '가뭄속 단비'
공동화 현상 심화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우산동 발전에 걸림돌 역할을 해 왔던 1군지사 이전이 본격화 되며 지역발전에 대한 주민들의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원주시는 9일 시청 소회의실에서 김기열시장, 1군지사 김영춘사령관, 한국토지공사 강원지역본부 노승인본부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3자간 도심 5개 군부대 통합이전사업 합의각서 체결식을 가졌다.
3자는 합의각서에서 시와 토지공사는 토지 135만8,942㎡(41만여평) 건물 260동을 지어 신규부대로 군에 기부하고 대신 군은 기존 1군지사 토지 78만1,524㎡(23만6,000여평) 건물 268동을 내놓기로 했다.
이에따라 1군지사가 2010년까지 문막읍 동화리 일대로 이전하면 1군지사 부지및 정지지구는 개발계획및 실시계획 승인, 보상협의 등을 거쳐 2010년 하반기에 착공해 2012년말 준공될 예정이다.
지역주민들은 1군지사 부지가 택지로 개발되면 우산동의 기존 상권과 연계되는 새로운 도심 조성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해결과제
그러나 1군지사 이전에 따른 택지개발이 2012년 이후께나 준공될 예정이어서 당장 올해 7월로 예정돼 있는 시외버스터미널 이전 등으로 인한 단기적 상권붕괴 대책은 별도로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주민들은 2003년초 고속버스 터미널이 단계동으로 이전한 뒤 기존 터미널 부지가 4년째 방치돼 있지만 원주시는 토지소유주가 동의하지 않는 민자유치 계획만 발표하고 있다며 실현 가능한 대책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여기에다 시외버스 터미널까지 7월 이전하면 그나마 남아있는 상권마져 붕괴될 위기에 처해진다며 시외버스및 고속버스 터미널 부지를 활용한 상권 형성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김의용 주민자치위원장은 “군지사 이전이 장기적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되겠지만 당장 필요한 것은 고속버스 터미널 이전에 후 방치되고 있는 부지및 시외버스 터미널 이전에 따른 지역상권 활성화 대책”이라고 강조했다. 원주=이명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