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기획-최규하 전 대통령 탄생 100주년 ]구멍난 구두·50년 된 선풍기 … 출장비 아껴 국고 반납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1) 청렴의 지도자

1979년 제10대 대통령 선출

신군부 압력에 1980년 사임

NPT 가입·원유 확보 담판

외교가·행정가로 일화 회자

부인 조심·비서 조심·자녀 조심

총리 취임후 부정부패 늘 경계

대한민국 헌정 사상 직업공무원으로 과장과 국장, 차관, 장관, 국무총리를 차례로 거쳐 대통령이 된 첫 번째 인물. 16일은 3·1 만세운동이 펼쳐진 1919년 태어나 2006년 10월 소천한 최규하 전 대통령의 탄생 100주년이 되는 날이다. 대한민국의 국익을 수호하는 외교관과 청렴한 행정가로 공직을 수행하다 신군부의 탄압으로 취임 8개월만에 대통령직을 내려놓아야 했던 비운의 대통령. 최규하 전 대통령의 탄생 100주년을 맞아 3회에 나눠 최 대통령을 재조명한다.

최규하 전 대통령은 1979년 10월26일 박정희 대통령의 서거로 치러진 통일주체 국민회의에서 제10대 대통령으로 선출, 12월21일 취임했다. 하지만 쿠데타로 정권을 장악한 신군부의 압력에 의해 대통령 취임 8개월여 만인 1980년 8월16일 사임한 뒤 서울 서교동 사저에서 말년을 보내야 했다.

신군부에서는 정권 찬탈의 합리화를 위해 최 대통령을 우유부단한 대통령으로 폄하시켰고 민주 인사들은 신군부 쿠데타를 막지 못한 허수아비 대통령이라고 평가절하했다.

하지만 정치인이 아닌 외교가와 행정가로서 최 대통령이 남긴 업적과 청렴함은 이 시대를 살아가는 수많은 공직자에게 귀감이 되고 있다.

최 대통령은 외무부(현 외교부) 장관 시절인 1968년 핵확산금지조약(NPT) 가입 문제를 놓고 주한 미국대사와 가진 담판에서 미국의 압력을 이겨내고 대한민국에 유리한 성과를 이끌어 내며 지금의 '한·미 연례안보협의회'의 기초가 된 '한·미 국방각료 연례회의'를 성사시켰다. 1973년 청와대 외교담당 특별보좌관으로 근무하던 당시 1차 오일쇼크 때 직접 사우디아라비아를 찾아 사우디 국왕과의 담판을 통해 원유를 확보한 일화는 외교부 내에서 아직도 회자되고 있다.

최 대통령이 평가받는 가장 큰 업적은 청렴이다. 최 대통령은 총리 취임 후 '부인 조심, 비서 조심, 자녀 조심'이라는 말로 부패를 경계했다고 한다.

공직에 몸담고 있는 동안 국내외 출장을 다녀오면 출장비를 아껴 다시 국고에 반납했다. 연탄보일러, 흰 고무신, 30여년 된 라디오, 50여년이 지난 선풍기, 구멍 난 구두 등이 전시된 서울 서교동 가옥은 최 전 대통령의 청렴함과 검소함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다.

최규하대통령기념사업회 함종한 이사장은 “대한민국 역사상 최 대통령 만큼 능력과 청렴을 갖춘 지도자는 없었다”며 “그의 청렴정신을 살려 청렴한 사회, 행복한 국가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원주=이명우기자 woolee@kwnews.co.kr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