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광역지자체 연합 '복수형' 사업 신청 불발 불구 대책 없어
'단일형' 부활 불투명한데 전북·제주와 연대 움직임도 안보여
속보=교육부의 수백억원 지원사업에 전국 광역지자체가 갖가지 청사진을 그리고 있지만 사업 신청조차 불발된 강원도와 강원도 내 대학들은 후속 대안을 찾지 못해 예산 확보에 대한 전망이 더욱 어두워지고 있다.
강원도에 따르면 교육부는 지난 16일 '2021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 공모를 마감했다. 올해는 교육부가 지난해와 달리 광역 지자체가 연합한 '복수형' 사업만 신청을 받아 '단일형'을 준비했던 강원도는 국비 480억원을 따낼 기회를 놓치고 허탈한 처지(본보 2월10일자 4면 보도)에 놓였다.
문제는 다음 공모에서 똑같이 상황이 반복되더라도 풀어 갈 대안이 없다는 점이다.
올해 복수형 사업에 도전한 '대전·세종·충남', '대구·경북' 등과 달리 강원도는 권역을 형성할 인접 광역 지자체가 마땅치 않다. 경기도는 서울, 인천과 함께 사업 참여 대상에서 애초 배제됐고, 충북은 이미 지난해 단일형에 선정돼 배후기반이 상대적으로 약한 강원도와 새롭게 손을 잡을 이유가 없다.
이 같은 상황에도 도는 교육부가 단일형 사업을 부활시키는 것이 유일한 길이라는 소극적인 입장만 펴고 있다. 도와 비슷한 처지에 놓인 전북, 제주 등과 연대 움직임도 없는 실정이다. 하지만 교육부는 이미 지난해 말 단일형을 존속해 달라는 강원도의 요청을 외면, 원상 복구 가능성도 불투명하다.
도내 대학들은 다음 달 중으로 올해 사업 지자체가 선정되면 올 7, 8월부터 내년 사업에 대한 구상들이 속속 드러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강원도가 준비할 시간이 많지 않다는 것이다. A대학 관계자는 “지역 발전이 목표인 사업이므로 결국 강원도가 이끌고 대학이 뒷받침하면서 경쟁에 적극적으로 뛰어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도 관계자는 “탈락한 지난해 공모에서도 취약한 산업기반이 지적됐고 도에서도 지역에 적합한 사업인지 회의적인 반응들이 있다”며 “국비 480억원을 받더라도 따라붙는 200억원 이상의 지방비도 부담”이라고 말했다.
한편 RIS사업은 대학을 지원해 길러낸 인재를 지역산업에 안착시키는 개념으로 지자체와 대학, 기업의 협력이 핵심이다.
정윤호기자 jyh89@kw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