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사고

도심 곳곳 비지정문화재…훼손 위험엔 ‘무방비 노출’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문화재 방재의 날 코앞으로 다가왔지만
비지정문화재 근처 소화기도 없는 상황
2018년부터 도내 사찰 화재 11건 발생

◇문화재 방재의 날을 하루 앞둔 9일 오후. 소양로비석군 근처에는 소화기를 비롯한 기본적인 소방설비를 찾아볼 수 없었다. 사진=김준겸 기자

2008년 숭례문 방화 사건을 계기로 지자체가 문화재 보호에 나섰지만 여전히 관리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지정문화재는 법적 근거가 없다는 이유로 최소한의 소방설비도 갖추지 않아 화재를 비롯한 훼손 위험에 노출된채 방치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강원도에 따르면 도내 비지정문화재는 총 3,253곳으로 도심 곳곳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비지정문화재는 문화재보호법의 관리 대상에 속하지 못할 뿐더러 대부분 불법건축물로 분류, 건물대장마저 제대로 보관되지 않고 있다.

문화재 방재의 날을 하루 앞둔 9일 오후. 소양로 비석군에는 안내 표지판과 낮은 울타리만 있을 뿐 화재 발생시 불을 끌 수 있는 소화기 등 기본적인 안전시설 조차 갖춰져 있지 않았다. 소양로 비석군은 비지정문화재였다가 춘천시가 2017년에 자체 관리 대상 문화재(향토문화재)로 지정했다.

비지정문화재에 대한 관리 소홀은 춘천시 뿐만 아니라 도내 각 시군도 사정은 마찬가지 이다. 강원도소방본부에 따르면 2018년부터 5년간 도내서 발생한 사찰문화재 화재는 총 11건으로 해마다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지난해 1월25일 원주시 문막읍 염불사에서 화재가 발생, 대웅전이 소실됐으며, 2021년 10월25일에도 삼척시 근덕면 세은정사 용왕당도 불에타는 피해를 입었다. 진압 중 2명의 소방관이 순직했던 2017년 강릉 석란정 화재 또한 비지정문화재로 건물 구조 파악이 불가해 진화가 더뎌졌다.

도 관계자는 “지자체별로 감시인력과 장비를 배치하고 있지만 비지정문화재의 분포 범위가 워낙 넓고 수가 많아 관리에 한계가 있다”며 “비지정문화재를 지자체 관리 대상으로 추가 지정하고 방재시스템 또한 순차적으로 도입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