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 춘천 캠프페이지 2조원대 개발사업 성공하자면

국토부 도시재생 국가시범지구 후보지 선정
문화와 첨단산업 공존하는 공간 조성 계획
춘천시 전체 개발계획과 연계돼야 시너지효과

춘천시의 캠프페이지 부지에 2조원대 개발사업이 추진된다. 춘천시가 2007년 미군으로부터 반환받은 후 16년째 활용 방안을 확정 짓지 못한 상태에서 시민들의 기대가 더욱 크다. 육동한 춘천시장은 지난 4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캠프페이지 부지를 문화(K-Culture)와 첨단산업이 공존하는 공간으로 만들겠다”고 발표했다. 긍정적인 것은 캠프페이지 개발은 국토교통부 공모사업인 도시재생 혁신지구 국가시범지구 사업을 바탕으로 추진된다는 점이다. 춘천시는 2023년 상반기 도시재생 혁신지구 국가시범지구 후보지로 선정됐다. 최종 후보지로 지정될 때까지 긴장의 끈을 놓아서는 안 된다.

수도권 도시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여러 면에서 열악한 춘천시의 발전과 시민들의 문화 환경 개선을 목표로 한 캠프페이지 개발 계획은 지역 간 격차 해소와 시민들의 삶의 질 개선이라는 측면에서 큰 획을 그을 수 있다. 때문에 캠프페이지 개발 계획의 취지나 동기에 대해 근본적으로 반대할 이유가 없다. 오히려 춘천시가 계획하고 있는 복안들이 차질 없이 진행돼야 한다. 문제는 무슨 일이든 그 청사진이 웅대할수록 준비 과정이 철저해야 한다는 점이다. 앞으로 여러 행정 절차가 남아 있기 때문이다. 내년 하반기 최종 선정되면 최대 250억원의 국비를 지원받을 수 있다. 여기서 간과해서는 안 될 일이 있다. 즉, 캠프페이지 개발 계획이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춘천시와 시민들 간의 충분한 협의가 전제돼야 한다. 또 춘천시 전체 개발 계획의 큰 틀 아래서 방향이 잡혀야 한다. 그래야 사업의 중복을 없앨 수 있다. 캠프페이지 개발 면적이 총 51만㎡ 규모로 방대한 데다 해당 부지를 복합용지 1·2구역, 주거용지, 공원용지, 공공용지, 녹지용지로 나눠 개발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기에 더욱 그렇다. 이번 사업을 일부 지역 문제로 국한해 볼 것이 아니라 통합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 시민과 지역 특성을 존중하며 환경을 보전하는 범위 내에서 추진돼야 한다. 캠프페이지 부지를 단번에 탈바꿈시키겠다는 자체도 무리다.

의욕이 앞선 사업은 오히려 시민의 삶을 더욱 어렵게 만들기 때문에 비전을 갖고 차분하게 시작해야 한다. 지난 10여년간 자치단체장이 바뀔 때마다 개발 청사진이 수차례 변경되고 토양 오염 부실 정화 파문, 문화재 발굴 절차 등으로 인해 개발 속도가 늦춰지면서 시민들의 피로감이 쌓였다는 점도 유념해야 한다. 특히 자치단체가 가면 시민은 뒤따를 수밖에 없다는 시대착오적 발상은 접어야 한다. 여기에다 춘천시가 계획하고 있는 지역 개발사업과 캠프페이지 개발과의 연계성을 따져 보완할 것은 보완하고, 버릴 것은 과감하게 버려야 한다. 그것이 바로 예산 낭비를 줄이고 체계적인 춘천시의 개발 성과를 거두는 길이다. 춘천시의 캠프페이지 개발이 시민들에게 꿈과 희망을 심어주는 큰 그릇이 돼야 한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파리올림픽